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계기로 한국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하면 가계부채 문제와 맞물려 금융위기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년 만기 단기외채를 적정 비율로 관리하고 통화스와프 확대 등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27일 금융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가 공동 개최한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과 한국의 금리 및 환율정책 과제’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다음달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내년에도 3차례 기준금리를 올린다는 의지를 점도표(Dot Chart)를 통해 공표한 바 있다.
오 교수는 “내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유출로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고 엔화는 더 큰 폭으로 떨어져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연구원 김남종 연구원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보유자산 축소 등 긴축 정책으로 앞으로 2년간 신흥국에서 최소 700억 달러가량의 자금이 유출될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 예측을 소개하기도 했다.
서울대 경제학부 김소영 교수는 “국제금융시장의 통합 가속화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같은 흐름을 보이는 동조화 현상이 최근 들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앞서 이미 국내 시장금리가 올라갔다는 반증이다. 김 교수는 “한은이 이달 말에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물가나 GDP갭 환율 때문은 아니고 결국 금융안정 때문일 것”이라며 “미국의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자본 유출을 막고 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라고 해석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美 금리인상 때 자본유출 가능성… 韓 또 금융위기 올 수도”
입력 2017-11-27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