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조7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현재 1.1명 수준인 합계 출산율을 1.4명까지 높이기 위해 마련한 부산형 출산장려책 ‘아이·맘 부산’이 전국 지자체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7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22년까지 5년간 목표로 다양한 부산형 출산장려책을 발표했다. 시가 마련한 출산장려책은 영유아(0∼5세) 지원사업, 엄마들의 하드웨어 구축사업, 주택정책 등 3개 부문 18개 사업이다. 이 가운데 영유아 입학축하금과 키즈카페 설치, 일·가정 양립 지원센터 운영 등은 전국 지자체 중 처음 시행되는 것이다.
영유아 지원사업 가운데 ‘아주라(아이한테 야구공을 주라는 부산 사투리) 지원금’ 부문은 출산지원금을 둘째 50만원(현재 20만원), 셋째 150만원(현재 100만원)으로 확대한다. 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둘째 이후 자녀에게 20만원의 입학축하금을 지원하며 세 자녀 가구엔 상하수도료도 감면해 준다.
하드웨어 구축사업인 ‘맘에게 센터’는 모든 구·군에 아가·맘 원스톱센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출산 육아 관련 모든 서비스를 이곳에서 처리하는데 현재 8곳인 육아종합지원센터를 14개로 확충한다. 또 부산 전역에 20곳의 키즈카페를 별도로 설치하고, 현재 8곳에서 운영 중인 신생아 집중치료센터도 실태조사 후 의료장비 확충 등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키즈카페는 놀이방·휴식공간·회의공간을 갖춰 영유아와 엄마들의 비용부담을 줄여주게 된다.
주택정책에선 신혼부부 및 다자녀가구의 주택 특별공급을 위해 청년들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행복주택 공급 목표의 50%를 신혼부부에게 우선 배정하기로 했다. 매입·전세 임대주택의 30%도 신혼부부에게 우선 배정한다. 또 민간주택에 대해 다자녀가구, 신혼부부 특별공급 의무비율을 20%에서 25%로 상향 조정하고 특별공급 분양가도 5%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시의회와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민간기업 등과의 협의도 마쳤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이 출산율 ‘0.3명’ 늘리는 데 드는 돈… 5년간 2조7천억
입력 2017-11-27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