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가지 숙박요금으로 평창올림픽 먹칠해선 안 돼

입력 2017-11-27 17:28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열기가 점차 고조되는 가운데 바가지 숙박요금 문제가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극성수기의 몇 배를 요구하는가 하면 빈방이 있어도 단체가 아닌 개인에게는 예약을 받지 않는 업소가 있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극성수기 17만9000원을 받는 2평짜리 2인실 가격은 44만8000원으로 올랐고, 최대 13명이 들어가는 80평 객실은 178만3000원에 달했다. 숙소를 구하지 못한 올림픽 손님과 빈방이 남는 숙박업주를 이어주고자 만든 ‘강릉숙박시설 공실 정보 안내 시스템’은 제 구실을 못했다. ‘예약 가능’ 정보를 확인하고 문의했으나 ‘아직 예약을 받지 않는다’는 응답이 돌아왔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무더기 ‘올림픽 공실(空室)’ 사태가 일어날 것으로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강릉시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큰 소득이 없다. 최문순 강원지사가 직접 숙박료 안정에 앞장서지만 업소가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는 분위기다. 바가지 숙박요금은 관중 동원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하루빨리 해결돼야 한다. 평창처럼 수도권과 멀리 떨어진 곳의 경우 내외국인 모두 숙박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 경기장을 찾기 쉽지 않다. 가뜩이나 흥행이 걱정되는 상황에 숙박 애로가 겹치면 찬물을 끼얹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업주들의 자정 노력이 가장 시급하다. 국가적 행사인 올림픽에 먹칠해서는 안되겠다. 관광이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큰 축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올림픽을 계기로 강원도가 관광 명소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기회를 날리지 않아야겠다. 당국은 업주를 설득하는 한편 시설보수 등 재투자 비용에 대한 지원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되는 바가지요금 단속 과정에서 적발되는 위법 행위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 일각에서 추진 중인 대형 크루즈 여객선을 통한 숙박시설 확보 등도 잘 챙겨야겠다.

중앙정부 차원의 관심 또한 절실하다. 사드 배치와 안보불안 등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마당에 맞는 평창올림픽은 2020년 외국인 관광객 2000만명 유치 목표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바가지 숙박요금으로 올림픽은 물론 관광한국의 명성을 그르치지 않도록 세심한 부분까지 살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