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학(사진) 신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3일 “기술탈취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면서 장관 취임 후 첫 과제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기술탈취 방지를 꼽았다. 그는 “중소기업을 소중한 기업이라는 의미의 ‘소중기업’으로 바꿔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홍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내 중기부 기자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기술탈취 문제와 관련해 대기업 규제 강화를 우려하는데, 그보다는 구조적으로 해결할 방안이 있다”며 기술임치제와 모태펀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역할 등을 거론했다. 기술임치제는 중소기업의 기술자료를 신뢰성 있는 전문기관에 보관해 기술 유출을 방지하는 제도다.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거래할 때 중기부에 신고하면 중기부가 기술을 보관하다 소송 때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 장관은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해 혁신하려면 대기업의 인수·합병(M&A) 활성화가 중요하다”면서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M&A하는 기업에 혜택을 늘려가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대형 쇼핑몰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거듭 밝혔다. 그는 “대형 쇼핑몰이 교외에 있으면 상생할 수 있는데 규제가 불안정하니 도심으로 들어온다”며 “상황에 따라 규제를 차등화해야 하지 않나 하는 견해도 있다. 규제를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홍 장관은 아울러 “중소기업은 세계화와 기술 진보의 파고를 꿰뚫어나갈 수 있는 소중한 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제 마음속으로 소중기업으로 부를 것”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부의 대물림’ 논란으로 국회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없이 장관에 임명됐다. 이에 대해 그는 “청문회 과정이 큰 도움이 됐다”며 “야당 의원의 지적을 받아들이며 더욱 겸손하게 일을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을 위하는 마음은 다 같다”면서 “야당 의원들과 협력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홍종학 신임 중기장관 “대기업의 기술 탈취 구조적으로 없앨 것”
입력 2017-11-23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