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문학관 건립 부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인근 국유지를 유력하게 검토 중이지만 서울시는 해당 부지가 용산공원으로 편입되어야 할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문체부가 사용하려는 부지는 현재 용산가족공원으로 조성돼 있다(지도 참조).
이우성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23일 서울 광화문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문학관 건립 논란에 대해 “서울시 등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국립한국문학관 설립추진위원회’를 통해 부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이 추진위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 내년 6월까지 부지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 주 발족될 한국문학관 추진위에는 용산공원 조성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 해당 부지를 관리해야 할 서울시, 문학, 건축, 환경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게 된다. 이날 간담회는 서울시가 문체부의 한국문학관 부지 논의를 우려하자 문체부가 부지 선정 경과를 설명하고 한국문학관 추진위 구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문체부 자문기구인 문학진흥정책위원회는 지난 8일 한국문학관 건립 최적 후보지로 서울 용산 중앙박물관 인근 부지를 의결한 사실을 공개했다. 문학진흥위 측은 “한국문학관은 용산공원의 생태성과 환경성에 부합하는 문화시설이라고 판단했고 해당 부지는 서울의 중심이기 때문에 대표성 상징성 접근성 등의 면에서 한국문학관 선정 기준에 부합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해당 부지 활용이 전체적인 용산공원 조성 계획과 관련해 논의돼야 한다며 반대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일 서울시의회에서 “미군 기지 부지 반환은 100년 만의 주권 회복이다. 용산공원은 민족의 공원으로 온전히 복원해야 한다”며 “최근 문체부에서 (한국문학관 부지로) 쓰겠다고 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하면 온전한 용산공원 복원이 힘들다”고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한국문학관 설립추진위가 운영되더라도 양측이 순조롭게 합의점을 찾을지는 미지수다. 문체부와 서울시의 입장차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문체부 측은 해당 부지가 문체부가 관리하는 국유지이고 용산공원조성특별법 상 공원으로 규정한 땅이 아니기 때문에 서울시가 반대하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면 서울시는 해당 부지 역시 과거 미군 기지로 사용됐던 땅이고 현재 용산가족공원으로 활용 중이기 때문에 용산공원 조성 계획 안에서 장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날 “해당 부지에 한국문학관이 건립되는 것은 절대 안 된다는 입장이 아니다”라면서도 “아직 용산 미군 부지가 다 반환되지도 않았는데 한국문학관을 우선 짓고 보자는 식으로 (문체부가) 접근해서는 제대로 된 공원을 만들기 어렵다”고 말했다.
글=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문체부-서울시, 한국문학관 건립 부지 줄다리기
입력 2017-11-2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