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정비와 거점산업 육성 등을 통해 낙후된 지역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사업이 집값 상승과 부동산 투기를 유발할 것이라는 걱정이 많다. 국토교통부가 전국적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작하면서 서울시를 제외한 것도 집값 상승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2014년 말부터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추진 중인 서울시가 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주택매매가를 조사해본 결과, 서울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승폭이 특별히 크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 시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중 주택 거래가 상대적으로 활발한 9개 지역을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3년간의 주택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증가율이 7∼8%로 같은 기간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 연평균 증가율(8%)과 별 차이가 없었다고 22일 밝혔다.
주택거래가 조사 대상이 된 9개 도시재생 시범사업지역은 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이다. 이번 주택매매가 분석에는 서울시 토지관리과가 관리하는 주택실거래가 자료와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의 건축인허가 데이터가 활용됐다.
도시재생 사업지역의 지난 3년간 연평균 주택매매가 증가율을 주택 유형별로 세분하면, ‘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지역 전체의 연평균 매매가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 ‘아파트’ 모두 8%로 대동소이했다.
서울시는 자치구 내에서 도시재생 지역의 주택매매가 증가율이 특별히 더 높은지를 살펴보기 위해 도시재생지역과 그 지역이 속한 자치구 전체의 증가율을 비교해 봐도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 등에선 일부 주택 유형에서 소속 자치구 평균보다 매매가 상승이 높은 곳이 발견됐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 시행에 따른 영향이라기보다는 정비사업 해제, 지하철 연장이나 공원 조성, 신규주택 건설 등이 집값 상승 요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강남4구(강남·송파·서초·강동구) 재건축 아파트의 주택매매가 증가율은 연평균 12.4%로 집계돼 서울시 전체 평균의 1.5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으며, 아직도 재건축과 같은 행위가 서울지역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도시재생과 집값 상승 연관성 없다”
입력 2017-11-22 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