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안드로이드폰을 통해 이용자 동의 없이 개인 위치정보를 구글 본사로 전송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의 80% 정도는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쓰고 있다. 민감한 사생활 정보인 위치 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수집한 만큼 당국의 조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미국의 온라인 매체 쿼츠는 최근 “안드로이드폰이 올해 초부터 사용자 동의 여부와 무관하게 개인 위치정보를 모아 구글 서버로 자동 전송했다”고 보도했다. 정보 수집은 사용자가 안드로이드폰의 위치 서비스를 끈 상태에서도 이뤄졌다. 스마트폰의 설정을 초기화해 위치 서비스를 차단한 뒤에도 위치정보가 전송됐다.
스마트폰은 사용자와 가까운 이동통신사 기지국과 교신한다. 구글은 ‘셀 ID 코드’로 불리는 이 기지국 정보를 모았다고 한다. 기지국 정보를 알면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를 반경 수백m에서 추적할 수 있다. 주로 경찰이 쓰는 기법으로 알려졌다.
구글코리아는 “올해 1월부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의 메시지 전달 속도와 성능을 개선하고자 셀 ID 코드를 전송한 건 맞다”며 “이달을 기점으로 수집 행위를 완전히 중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집된 셀 ID 코드는 OS 메시지 기능 개선에 활용이 검토됐지만 실제 사용된 적은 없다”면서 “해당 데이터는 전송될 때마다 폐기돼 저장되지 않았고 다른 용도로 쓴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국내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경찰이나 구조기관을 제외하고 이용자 동의 없이 위치정보를 수집하면 형사처벌 대상이다. 방송통신위원회도 사실관계 확인에 들어갔다.
구글 측이 언급한 메시지 기능은 안드로이드폰 OS가 전달하는 업데이트 공지 등의 알림을 의미한다. 구글이 해당 데이터를 맞춤형 온라인 광고 등에 활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구글은 지난 10월에도 인공지능(AI) 스피커인 ‘구글 홈 미니’에서 오작동이 발생해 사용자가 집안에서 주고받는 대화를 무작위로 녹음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글=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
구글 안드로이드폰, 개인 위치 정보 몰래 수집
입력 2017-11-22 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