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포항지역 지진 피해 복구에 힘을 모으기 위해 포항에서 22일 도내 ‘시장·군수 현장회의’를 개최했다. 포항 현장회의는 지난 20일 정부가 포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직후 결정됐다.
도내 23개 시·군의 가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포항시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자는 취지다. 이날 포항 현장회의에서 시장·군수들은 지진 피해현황과 대처상황, 현장행정지원단장의 협조요청 사항 등을 보고받고 시·군으로 돌아가는 즉시 유관기관, 지역주민들과 연계해 포항지역 피해복구에 전력을 다해 지원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시장·군수들은 포항시가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성금을 모금하는데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각 지역상공회의소와 논의해 기업들이 적극 후원할 수 있도록 하고 공무원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금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참 분위기 조성에 최선을 다하기로 합의했다.
또 도로 및 철도와 각종 시설물 조기복구를 위한 피해조사 및 안전점검 지원, 폐기물 수거 및 상수도시설 점검 인력과 장비 지원 등에도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적십자 및 봉사단체 등과 연계해 구호물품을 적기에 나눠주고 자원봉사의 손길이 필요한 곳도 적극 돕기로 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시장·군수님들이 한달음에 포항을 찾아주시니 힘이 난다”며 “자금과 인력, 장비가 부족한 만큼 조기복구에 힘을 모아 달라”고 요청했다. 경북도내 시장군수협의회 한동수 회장은 “각 시·군의 모든 자원을 적절히 투입해 포항시민들이 어려움을 조기에 극복하는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이번 지진은 국가적 재난”이라며 “재난에는 여야가 따로 없고 국가와 지방이 따로 없는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포항시가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경북도와 시·군의 인적·물적·재정적 자원을 총 투입해 조속히 해결하자”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중앙정부에서도 특별교부세를 이곳에 총 투입한다는 각오로 행정력을 집중하고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국회 지진대책특별위원회 구성 등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건의했다.포항=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 23개 시·군 ‘포항 복구’ 힘 모은다
입력 2017-11-23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