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AI 전국 확산에 방역대책본부 설치… 선제적 대응 나서

입력 2017-11-21 21:45
지난해 124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해 1589만 마리를 살처분했던 경기도가 방역대책본부 설치 등 선제적 방역에 나섰다. 지난 20일 전북 고창 등지서 검출된 AI 바이러스가 고병원성(H5N6형)으로 확진, 농림축산식품부가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한데 따른 것이다.

도는 의정부 북부청사에 남경필 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AI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고 31개 시·군에도 방역대책본부를 운영, 관련 부서 간 협조체계를 구축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먼저 포천·여주 등 타도 인접 및 축산농가가 많은 주요 14개 시·군에 통제초소 및 거점소독시설을 설치한다. 내년 5월까지 농장 내 분뇨 반출을 금지하고 사료 등 운반차량에 대해서는 1일 1농장만 방문할 수 있도록 출입 횟수를 제한키로 했다. 이어 방역취약 농가 312곳에는 전담공무원 103명을 지정해 일일 전화예찰 및 주 1회 현지예찰활동을 벌이고 농장 및 관련시설 소독, 외부인·차량 통제, 농가모임 제한 등을 지도·점검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경기도에서 최악의 AI 피해가 발생한 만큼 올해는 철저한 대비를 통해 확산과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면서 “도내 농가와 관련업계에도 철저한 방역조치와 협조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의정부=김연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