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회 정보위 보고
당, 불손한 태도 문제 삼아
軍정치국 20년 만에 검열
김정은, 해이해진 조직·사상
다잡겠다는 의지 반영된 듯
최-황간 ‘권력 투쟁’ 시각도
북한 지도부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군 정치국에 대한 검열을 진행해 황병서 총정치국장, 김원홍 총정치국 제1부국장 등 군부 핵심인사를 처벌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은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주재하에 당 조직지도부가 ‘불순한 태도’를 문제 삼아 군 정치국에 대한 검열을 진행 중”이라고 보고했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브리핑에서 “국정원이 황 국장과 김 부국장을 비롯해 총정치국 소속 장교들이 처벌받았다는 첩보를 입수해 주시하고 있다”며 “군 정치국이 검열을 받은 것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대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라고 말했다.
검열을 주도한 최 부위원장은 총정치국장 출신으로, 현재 당 조직지도부장을 겸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지도부는 당·정·군에 대한 인사·검열권을 가지고 있는 북한 권력의 핵심 공안조직으로 통한다. 때문에 이번 조치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의지가 반영됐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유일영군체계 확립과 관계가 된다”며 “지도력 강화 차원에서 헤이해진 군의 조직과 사상을 다잡겠다는 김 위원장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과거 김정일 ‘선군정치’ 시대에 군에 너무 힘을 실어줬기에 군에 대한 일종의 ‘힘 빼기’가 지속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실제 김 위원장은 집권 후 권력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과 숙청을 반복해 왔다. 당 행정부를 담당했던 고모부 장성택 전 국방위 부위원장을 숙청하고, 군 수뇌부인 이영호 전 총참모장을 차례로 처형했다. 양 교수는 “최근 국가보위성에 대한 검열에 이어 군 핵심 총정치국에 손을 댄 것 자체가 김 위원장 유일영군체계를 굳건히 하기 위한 ‘사전정지작업’의 일환”이라고 해석했다.
일각에선 당 핵심인 최 부위원장과 군 핵심인 황 국장 간 권력투쟁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한 정보위 관계자는 “북한 체제에서 최고위급 권력기관인 총정치국을 당이 손본다는 것은 보통 문제가 아니다”며 “국정원이 내부 권력투쟁 혹은 당과 군의 위상 조정 등에 대해 추가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황 국장이 권력지향적 인물이라기보다는 김 위원장에 충성하는 ‘전형적 관료’로 알려져 있어 권력투쟁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국정원은 북한의 추가 핵·미사일 도발과 관련해선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핵실험 임박 징후는 식별되지 않고 있다”고 보고했다. 자유한국당 정보위 간사인 이완영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6차 핵실험 이후 2번 갱도는 방치되고 있고 3번 갱도는 상시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로 관리 중이며, 4번 갱도는 최근 건설 공사를 재개했다”며 “국정원은 김 위원장 결단에 따라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또 북한이 미사일 성능 개량 목적으로 연내에 각종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건희 조성은 김판 기자 moderato@kmib.co.kr
“北, 최룡해 주도 황병서·김원홍 처벌 첩보”… 김정은 뜻?
입력 2017-11-20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