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발생해도 23일 시험 치르기로
피해 큰 포항 북부 고사장, 남부로 대체
다시 큰 지진 오면 포항 인근으로 재배치
거기서도 못 치르면 별도 대책 마련
文 대통령, 포항 ‘특별재난지역’ 선포
지진이 또 발생해도 23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예정대로 치르며 재연기는 없다고 교육부가 20일 밝혔다. 지진 피해가 집중된 경북 포항 북부 지역 고사장 4곳에서 시험을 볼 예정이었던 수험생은 포항 남부로 이동해 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포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진석 교육부 대학정책실장은 “(수능 전에) 다시 큰 지진이 오면 (수험생들을) 포항 인근으로 재배치하고 거기서도 시험을 치를 수 없다면 해당 지역만 빼고 수능을 치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3일 일부 학생이 지진으로 수능을 치르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의 대책은 추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지진 정도에 따라 3단계로 상황을 구분, 고사장 책임자가 필요할 경우 시험 일시 중단이나 긴급 대피를 결정하도록 했다. 건물이 크게 흔들리고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수험생들은 운동장으로 대피한다. 운동장으로 대피하면 해당 고사장은 시험이 취소된다.
이창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장은 “특정 학교만 시험을 못 보는 경우 국가재난사태에 해당된다. 국가 전체적으로 재시험을 볼지, 시험을 못 치른 학생에 국한해 따로 대책을 마련할지는 추후 충분한 논의를 거쳐 마련해야 한다. 지금은 대비책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중앙안전관리위원회가 건의한 포항 특별재난지역 선포안을 재가했다. 문 대통령은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신속한 피해 복구와 함께 입시 일정에 차질 없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며 “당장은 피해 복구와 수능 실시가 최우선이며 긴급한 일이 끝나면 안전과 재난에 대한 대비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3일로 연기된 수능일에도 여진이 있을 수 있으니 정부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지침을 미리 마련해두겠다”며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은 너무 걱정하지 말고 시험장에서 이뤄지는 조치에 따라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추운 날씨와 여진 공포 속에서 집을 떠나 하루하루 힘든 생활을 하시는 포항과 인근 주민, 수험생께 다시 한번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도경 강준구 기자 yido@kmib.co.kr
지진 시나리오별 대책 보니… “수능 또 연기는 없다”
입력 2017-11-20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