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드 보복 완화돼도 위험 분산 전략 마련해야”

입력 2017-11-19 19:51
중국의 사드(THAAD) 보복이 완화될 움직임을 보이지만 위험 분산 차원에서 맞춤형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일본을 통해 본 차이나 리스크 대응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의 경제 제재가 완화돼도 시장을 다변화해 새로운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우선 2012년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이후 중국에 대한 전략을 수정한 일본의 사례를 들어 지역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미국과 유럽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력 확보처로 인식했다. 도요타 자동차는 미국에 인공지능(AI) 연구개발센터 설립 계획을 세웠고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영국 반도체 설계회사 암홀딩스를 310억 달러에 인수했다. 아세안에 대해선 중국의 대체 생산거점 및 소비시장으로 보고 투자를 늘렸다. 비중을 줄이긴 했지만 중국 시장에선 기술경쟁력이 우위에 있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연구원은 한국 역시 중국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시장으로 보고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아세안 지역으로의 투자를 확대하는 데 그치지 말고 이 지역 내 투자처를 다양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기업이 베트남에 활발하게 진출한 점은 다행이지만 일본기업의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높아 향후 한·일 간 경쟁 심화가 불가피하다”며 “아세안 내 투자처를 다양화하고 인근 지역과의 연계투자 확대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