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 활용, 지진 안전지도 구축해야”… 국토정보공사, 재난대비책 제시

입력 2017-11-19 18:55

포항 지진으로 이재민과 부상자가 속출한 가운데 지진 등 재난에 대비하려면 건축물 구조와 상주인구 등을 고려한 안전지도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해 한반도 지진 관측 사상 최대인 규모 5.8 지진이 발생했던 경북 경주는 지진대피소 수가 인구에 비해 부족했고 이동거리도 멀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 국토정보교육원은 18일 서울시립대에서 열린 ‘2017 지리학대회’ 특별세션에서 지진방재대책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경주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경주 인구 26만명에 비해 지진대피소가 158곳에 불과했고 지진대피소의 이동거리도 멀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내진설계가 안 된 노후 저층 주택이 많아 피해가 더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공간정보를 활용해 내진설계 등 건물특성을 토대로 대피소 배치를 분석하고 지진피해의 보상금 기준안을 제시하는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제안했다.

미국의 최신 지진 위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에고(Ergo)EQ’를 활용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규모에 따른 건물의 피해확률도 예측했다. 진동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 지진규모와 도달거리에 따라 피해가 달라지기 때문에 지역별 토질과 지반특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지진 안전지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방법을 제시했다. 가로 100m, 세로 100m 격자단위로 상주인구 데이터를 변환해 지진대피소를 시각화하면 대피소별 수용가능 인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수용가능 범위를 지진대피소별 최대수용인구로 분석하면 전체적인 취약지를 파악할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피해규모에 따라 피해보상 현황도 시각화할 것을 주문했다. 가로 500m, 세로 500m 격자에 평균 건물주택가격을 시각화해 건축물들의 가치차이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