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朴 상납 지시’ 시인 관련
언제·어떻게 등 집중 추궁
20일 특활비 뇌물수수 혐의
안봉근·이재만 기소 예정
박근혜정부 국가정보원장 3명 중 유일하게 구속을 피한 이병호 전 원장이 19일 검찰에 재소환됐다. 구속영장이 기각된 지 이틀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양석조)는 검찰 조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상납 지시를 일관되게 부인해 왔던 이 전 원장이 자신의 구속전피의자심문에선 ‘박 전 대통령 지시였다’고 시인한 만큼 신속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보고 다시 불러 조사했다.
이날 오후 출석에 앞서 취재진과 만난 이 전 원장은 ‘박 전 대통령이 특활비를 어디에 쓴다고 했느냐’ ‘진술을 바꾼 이유가 뭔가’ 등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첫 번째 조사 때보다 표정은 굳어 있었다.
검찰은 이 전 원장을 상대로 박 전 대통령이 상납 지시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내렸는지 등을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박근혜정부 3명의 국정원장 중 이 전 원장의 재임 기간이 가장 길고 상납한 금액도 많은 만큼 내밀한 상납 과정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전 원장은 정기적으로 상납한 돈 말고도 박근혜정부가 필요하다고 할 때마다 특활비를 꺼내주기도 했다. 박근혜정부 청와대가 행한 이른바 ‘진박 감별용’ 불법 여론조사 비용 5억원을 특활비로 대신 채웠고, 국정농단 사태로 상납이 끊겼음에도 청와대 지시로 다시 2억원을 보냈다. 이 전 원장은 박 전 대통령의 지시를 인정하면서도 용처는 알지 못했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원장 신병 확보엔 실패했지만 남재준·이병기 전 원장 구속으로 검찰의 국정원 특활비 상납 수사는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검찰은 매달 300만∼500만원의 국정원 특활비를 별도로 받은 것으로 조사된 조윤선 전 정무수석과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 불법 여론조사에 관여한 현기환·김재원 전 정무수석을 조만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역시 이달 안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활비 상납 관련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 및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된 안봉근 전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과 이재만 전 총무비서관은 20일 기소될 예정이다.
황인호 신훈 기자 inhovator@kmib.co.kr
다시 소환된 이병호 “특활비 용처는 모른다”
입력 2017-11-19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