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내일 ‘홍종학 임명’ 강행 방침, 왜?… “신설부처여서”

입력 2017-11-20 05:02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내각 인선 지나치게 늦어지고
결격사유 불법 아니다” 판단도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오늘 기한


문재인 대통령이 야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르면 21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3일 국회에서 홍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이 무산되자 20일까지 다시 채택해줄 것을 요청했다.

중기부가 신설부처여서 정치인 출신 장관이 인력·업무를 조율하는데 수월하다는 점, 내각 인선이 지나치게 늦어진 점, 홍 후보자가 불법을 저지른 게 없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중기부 장관으로 관료 출신은 부적절하다는 기류가 많다. 중기부 차관에 당초 장관 후보로 거론됐던 최수규 전 중소기업청 차장을 임명한 것도 관료 출신의 한계를 감안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9일 “신설 부처는 인력, 정책, 예산 등을 두고 기존 부처와 알력이 일기 마련”이라며 “관료 출신 장관이 올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말했다. 홍 후보자는 문 대통령 대선 캠프의 정책 부본부장 출신이다.

출범 6개월이 지나도록 내각 구성이 완료되지 않은 점도 홍 후보자 임명 기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안경환(법무부) 조대엽(고용노동부) 박성진(중기부) 등 장관 후보자들이 잇달아 낙마한 상황에서 홍 후보자까지 낙마하면 청와대 인사·민정 라인은 다시 한번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천명했던 ‘고위공직자 배제 인사 5대원칙’에 대해서도 1기 내각 구성 완료 후 본격적으로 대책을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내각 인선이 늦어지면서 고위공무원 및 공공기관장 인사 등 후속 인사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는 내부 평가도 있다. 여론의 비판 대상이었던 ‘격세 증여’의 경우 장모 결정에 홍 후보자가 적극 개입하기 어려웠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한편 청와대는 내년 6월에 임기가 만료되는 이철성 경찰청장을 교체할 의사가 없음을 확인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 청장이 최근 사의를 표명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청장 교체를 고려할 만한 특별한 인사 요인이 없다”며 “이 청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대통령 탄핵사태부터 지금까지 치안관리를 안정적으로 충실히 해왔다”고 설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