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창의 한 육용오리 농장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돼 사육 중이던 오리 1만2300마리가 19일 모두 살처분됐다. 검출된 바이러스는 정밀조사 결과 지난겨울 전국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던 고병원성(H5N6형)으로 드러나 방역 당국과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최고 수준의 방역조치를 실시하기로 했다.
전염성이 강해 큰 피해를 초래하는 고병원성 AI는 2014년 이후 연례행사처럼 매년 발생하고 있다. 지난겨울에는 11월 중순 처음 발생한 후 올해 4월 초까지 4개월여 동안 전국 50개 시·군으로 확산되는 바람에 사상 최대의 피해가 발생했다. 900여 농가에서 닭과 오리 등 가금류 3787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방역 당국이 대응한다고 했지만 올겨울에도 고병원성 AI가 발생해 피해가 우려된다. 방역 당국과 지방자치단체, 사육농가는 AI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에 만전을 기해야겠다. AI는 초동대응에 실패할 경우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 있으니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초동방역에 힘써야 한다. AI 발생 지역인 고창군의 모든 가금류 사육농장과 종사자에 대해서는 7일간 이동중지 명령이 내려진 만큼 해당 농가들은 적극 협력해야 한다.
환경부와 농식품부, 지자체 등 관련 부처와 기관들은 긴밀히 공조해 방역망이 뚫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른 지역 가금류 농가들도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하는 건 물론이다. 철새 도래지 출입을 삼가고 축사 그물망 정비와 예방소독에 힘써야 한다. 사육 가금류에서 AI 의심 증상이 발견되면 신속히 방역기관에 신고하는 건 기본이다.
내년 2월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이 예정돼 있다. AI가 창궐하면 농가 피해는 물론이고 이동 제한으로 올림픽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연례행사처럼 겪는 AI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민과 관이 긴밀한 공조체계를 가동해야겠다.
[사설] 고병원성 AI 첫 발생, 방역체계 빈틈없어야
입력 2017-11-19 17:40 수정 2017-11-19 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