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사퇴로 청와대가 가뜩이나 어려웠던 대야(野) 관계에서 더욱 곤란한 처지가 됐다. 해외 순방 후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 상황을 설명하려던 여야 대표 회동도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예산 국회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에 앞서 여야 대표 회담을 개최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의 회동 결과를 설명하고, 향후 대중 외교 방향을 논의하려 했다. 하지만 전 전 수석의 사퇴로 일단 급제동이 걸린 상태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정무수석이 공석인 만큼 여야 대표 회동을 당장 열기는 어렵다”며 “역할이 막대한 만큼 후임 정무수석이 임명되고 나서야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르면 다음 주 초 후임 인선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다른 관계자는 “정무수석 자리는 오래 비워둘 수 없는 자리”라며 “취임 초반 검증이 끝났던 사람 중에서 인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동남아 순방 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제안했던 ‘일 대 일’ 영수회담도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단독 회담보다는 비교섭단체까지 모두 모이는 공동 회담을 선호해왔다. 홍 대표와의 회담을 성사시키려면 정무적 조율 절차가 필요한데 전 전 수석의 사퇴로 중단됐다.
문 대통령은 취임 6개월간 세 차례 여야 대표회동을 했다. 협치를 당부한 첫 회동(5월 19일)을 제외하면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결과 설명(7월 19일), 러시아 방문 및 유엔 총회 참석 성과 설명(9월 27일) 등 모두 외교안보 현안이 주요 의제였다.
청와대 정무수석실은 이날 오전 다른 비서실과 함께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국회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과 한병도 정무비서관이 주축이 돼 비서실별 국회 현안을 점검하고 이행 계획을 검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진 비서관이 일단 수석 대행을 하고 있다”며 “체제 정비가 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야당이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선에 반대하는 데다 예산 국회도 임박해 있어 청와대의 협치 전망이 밝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정무수석 공석 여파… 文 대통령-여야 대표 회동 연기 불가피
입력 2017-11-17 18:42 수정 2017-11-18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