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하기 위해 개발 중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 개발이 한계에 부딪힌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한 의원은 1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가정보원이 전날) 북한이 ICBM 고각 발사(90도에 가깝게 발사하는 것)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확보한 것으로 보이나, ICBM 정각 발사(미사일을 정상적인 각도인 30∼45도로 발사하는 것) 탄두의 재진입 기술은 아직 (확보가) 안 됐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정각 발사는 고각 발사 때보다 훨씬 오랜 시간 대기권 밖을 비행하다 재진입해야 하는데, 북한이 이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국정원은 정각 발사와 고각 발사의 재진입 기술 차이가 매우 크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지난 7월 두 차례 고각으로 시험발사한 ICBM급 ‘화성 14형’은 비행거리가 각각 933㎞, 998㎞였다. 이를 정각으로 발사할 경우 사거리는 1만300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9월 6차 핵실험 이후 별다른 도발을 하지 않고 있는 이유로 국제제재와 미국의 무력시위, 경제적 부담 등을 꼽았다. 6차 핵실험 이후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훨씬 강화돼 당분간 숨고르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최근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과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전략폭격기 B-1B 랜서 등 미군 전략자산이 자주 한반도에 전개된 것에도 북한이 긴장하고 있다는 뜻이다. 국정원은 특히 지난 9월 B-1B 편대가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공해상에서 비행한 것이 북한의 ‘잠행’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했다. 또 올해만 15차례 미사일 발사를 하는 등 김정은 체제 수립 후 감행된 잦은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한계치에 이르렀을 것이란 분석이다.
국정원은 그러나 북한이 최근 수차례 미사일 엔진 실험을 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언제든지 미사일 시험발사를 재개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또 북·미 간 1.5트랙(반관반민) 대화 움직임은 있으나 의미 있는 진전은 아직 없었다고 보고했다.
정보위는 16일 국정원 예산안 심사에서 전액 특수활동비로 편성된 국정원의 내년도 예산 가운데 총액 대비 7∼8% 정도를 감액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올해 국회에 보고한 국정원의 내년 예산은 4930억8400만원으로 대략 300억∼400억원이 감액될 전망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북, ICBM 고각 발사 탄두 대기권 재진입 기술은 성공… 정각 발사 재진입 기술은 확보 못했다”
입력 2017-11-18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