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주일 연기된 수능은 물론 대입전형절차 차질 없어야

입력 2017-11-16 18:02
교육부가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한 뒤 16일 치러질 예정이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23일로 일주일 연기한 것은 불가피했다고 본다. 지진 여파로 포항고 포항여고 대동고 유성여고 등 수능 시험장 여러 곳에서 건물 균열이 발생했고, 지진 발생 이튿날에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히 연기하는 게 맞다. 학생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만약 시험을 보고 있을 시간에 지진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면 아찔하다. 15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포항 지역 수험생 중 상당수가 여진 등을 걱정해 귀가하지 못했다는 뉴스를 접하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아쉬운 것은 교육부가 포항 지진이 발생한 15일 오후 2시29분 직후 지진에도 관계없이 수능을 예정대로 치르겠다고 했다가 시험 시작 12시간여를 앞둔 오후 8시가 지나서야 뒤늦게 수능 연기를 발표한 점이다. 애초부터 피해 상황을 알아보고 수능을 예정대로 강행할지, 아니면 미룰지 결정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이 남는다. 수능 연기는 1년 동안 수능시험을 준비해온 59만명의 수험생이나 학부모들에겐 날벼락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시험을 위해 미리 육지로 나와 있던 섬 지역 학생들이나 이미 공부하던 참고서나 문제집 등을 버린 수험생들은 혼란이 더 클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능 연기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일이다. 단 한 명의 수험생도 피해를 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16일 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를 거쳐 1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대학별 논술·면접 등 수시모집 일정과 다음달 30일부터 예정됐던 정시 모집 일정을 각각 일주일 순연하기로 한 것은 적절한 조치다. 여진으로 수험생들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지난해 9월 발생한 규모 5.8의 경주 지진의 경우 일주일 후 규모 4.5의 여진이 발생했다. 포항은 지반이 더 약해 여진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정부는 전국 고사장의 안전점검을 한 뒤 지진 피해가 심한 포항 지역 수험생 등은 인근 지역에서 시험을 치르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지진으로 특히 피해가 큰 이 지역 수험생들에 대한 지원과 대책이 필요하다.

수능이 연기된 만큼 시험지 관리와 보안에도 각별히 만전을 기해야 한다. 수능시험 문제지는 전국 85개 시험지구로 옮겨져 각 지역 교육청에서 보관 중이다. 공정성 시비나 시험지 유출 등의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비를 강화해야겠다. 수능이 1994년 시작된 이래 자연재해 등 돌발 상황으로 시험이 미뤄진 것은 처음이다. 수험생들이 느끼는 당혹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때일수록 차분하게 건강관리에 유념하면서 남은 일주일 수능 준비에 최선을 다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