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울시의 미세먼지 대책이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면서 오는 20일부터 서울시가 시작하는 초미세먼지 경보 발령 시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미세먼지로 서울시 대중교통이 무료로 운행되는 날 경기·인천지역 버스는 돈을 내고 타야 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5일 언론 브리핑에서 “서울시의 주장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못 된다”며 “경기도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별도의 미세먼지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서울시의 대책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데 반해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면서 “대기오염의 70%를 차지하는 화물차에 대한 대책 없이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행하겠다는 것은 순서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서울시의 미세먼지 정책을 ‘포퓰리즘적 미봉책’이라고 규정한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앞서 지난 6월 서울시가 발표한 10대 미세먼지 대책인 ‘서울형 비상저감조치’에는 당일(0시∼오후 4시)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가 m³당 나쁨(50μg) 이상이고 다음 날 예보도 나쁨 이상이면 출퇴근 시간 서울에서 타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지하철 1∼9호선, 우이신설선 요금을 면제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서울시는 여기에 수도권 통합환승제를 적용받는 경기·인천 버스도 참여할지를 두고 수도권 지자체들과 협의를 해왔다.
남 지사는 경기도만의 독자적인 미세먼지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얘기했다. 남 지사는 “먼저 2027년까지 119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4109대에 달하는 도내 경유버스를 모두 폐차하고, 이를 친환경 전기버스로 대체하겠다”고 말했다. 또 “전기버스·택시 보급 확대를 위해 차고지 내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차고지 인근의 일반 전기차 소유자들도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플랫폼 형태의 공유충전시스템을 구축, 전기자동차를 늘려가겠다”고 덧붙였다.
수원=강희청기자, 김남중 기자
서울시-경기도, 미세먼지 대책 ‘충돌’
입력 2017-11-1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