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의원들 ‘정책연대>선거연대>당 대 당 통합’

입력 2017-11-16 05:05



국민의당·바른정당 의원 전수 조사 해보니

연대 수위 높아질수록
국민의당 반대 의견 증가
바른정당, 연대는 물론
통합에도 과반이 찬성

당세·전망·실익 등 놓고
손익계산 엇갈리는 모습


국민의당은 바른정당과의 정책·선거연대에 대해선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 당 대 당 통합에는 상당수가 거부감을 표출했다. 반면 바른정당은 국민의당과의 연대는 물론 통합에도 과반이 찬성표를 던졌다. 당세 및 향후 전망, 통합의 실익 등을 놓고 양측의 손익계산이 엇갈리는 모습이었다.

국민일보가 14∼15일 양당 의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민의당 의원들은 두 당의 연대 수위가 높아질수록 반대 의견이 많았다. 국민의당 응답 의원 36명 중 양당의 ‘정책연대’에 찬성하는 입장은 모두 23명이었다. 현재도 원내 지도부 차원에서 정책연대를 진행하고 있어 반대할 명분이 없다는 현실론이 다수였다.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선거연대’에 찬성하는 국민의당 의원은 19명으로 줄었다. 양당 지지기반 및 지지율을 고려할 때 ‘선거연대 자체가 별 효과 없을 것’이라는 판단과 ‘정책 연대 성과를 보고 판단해도 늦지 않다’는 신중론으로 갈렸다.

당 통합에 대한 질문에는 찬성이 5명인 반면 반대는 13명으로 큰 대조를 보였다. 당 정체성과 DNA 자체가 달라 화학적 결합이 어렵고, 당세가 한쪽으로 기우는 마당에 ‘당 지분’을 놓고 통합 논의를 이어갈 실익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국민의당의 호남 중진의원은 “당 대 당 통합은 말이 안 된다. 들어오고 싶은 사람은 국민의당에서 함께하면 된다”고 말했다. 다른 중진의원도 “바른정당에서 2∼3명은 더 한국당으로 갈 텐데 7∼8명 규모 정당과의 통합 논의는 앞뒤가 안 맞는다. 들어올 사람은 그냥 들어오면 된다”고 말했다.

통합에 대해 입장을 유보한 의원은 10명이었다. 바른정당이 이제 막 새 지도부를 선출했기 때문에 당내 논의 및 연대 추이를 보고 입장을 정하겠다는 취지다. 한 비례대표 의원은 “(바른정당 탈당 이전에는) 통합 쪽으로 의견을 낸 적이 있지만 현재는 입장을 말하기 어렵다”며 “당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바른정당은 단계별 연대부터 양당 통합까지 모든 논의에 대부분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정책연대에는 의원 11명 중 8명이 찬성했다. 통합에 반대하는 의원은 1명뿐이었다. 유보 입장을 밝힌 의원도 “우선순위에서 보수통합이 중도통합보다 먼저”라며 연대·통합 논의 자체를 거부하진 않았다. 대규모 탈당으로 당의 외연이 급격히 좁아진 상황에서 제3지대 내 연대·통합 논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절박함 때문이다.

한 초선 의원은 “정치는 현실이다. 지지율 5∼6%만으로 무엇을 할 수 있겠나. 우선 국회에서 할 수 있는 일 중심으로 공조를 하고, 12월 중순까지 선거연대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중진 의원은 “선거연대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무조건 해야 한다”면서도 “통합은 각자 내부 사정과 명분 문제 등이 걸려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정건희 김판 신재희 기자 moderato@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