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하자마자 靑서 긴급회의
“국민은 정부 믿고 전파하는
행동요령에 따라 달라” 당부
문재인(사진) 대통령은 15일 오후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청와대에서 긴급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경북 포항 지진 상황을 보고받고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긴급회의에서 피해 상황과 수능 시험 관리대책 등을 보고받은 뒤 “원전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시설의 안전을 철저히 점검하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오후 3시30분쯤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청와대로 향했다. 이어 오후 4시30분부터 포항 지진 관련 긴급 수보회의를 주재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지난 경주 지진을 경험해보니 지진 발생 때 본진뿐만 아니라 여진 등에 대한 불안이 크다”며 “현재 발생한 지진이 안정 범위 이내라고 해서 긴장을 풀지 말고 향후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도 정부를 믿고 정부가 전파하는 행동요령에 따라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진 발생 직후 전용기인 공군 1호기에서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로부터 지진 발생 보고를 받았다.
정부는 피해 상황과 여진 가능성을 살피는 한편 즉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설치해 피해자 구조 등 후속 조치에 나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진 발생 지역과 가까운 곳에 원전이 밀집해 있어 국민 불안이 더 클 것”이라면서 “재난 복구 지원과 피해 파악 등에 종사하는 기관과 똑같이 원전과 그 관련 시설 종사자도 상황 종료 때까지는 비상대비근무 태세에 돌입하라”고 지시했다. 이 총리는 16일 오전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백운규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와 세종청사 간 긴급 영상회의를 갖고 원전, 발전소, 송·배전망, 석유비축시설 등 에너지 시설과 산업단지 등 상황을 점검했다. 국토교통부도 철도와 도로, 수력발전소 등 시설물 점검을 위해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재난 대응체계를 강화해 여진에 대비했다. 행정안전부는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피해시설물 위험도 평가단과 재난피해합동조사단을 포항 지진 현장에 파견키로 했다.
문동성 조성은 기자 theMoon@kmib.co.kr
文 대통령 “산업시설 안전도 철저 점검”
입력 2017-11-15 18:13 수정 2017-11-15 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