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명 간편결제 서비스인 ‘페이코’가 ‘삼성페이’와 손잡았다. 온라인 결제에 강한 페이코와 오프라인 결제의 강자 삼성페이가 서로의 경쟁력을 공유하면서 간편결제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페이코 운영사인 NHN페이코는 삼성전자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페이코 앱에 삼성페이 결제 기능을 탑재한다고 14일 밝혔다. 지금까지 페이코는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갖춘 전용 단말기가 있는 오프라인 상점에서만 결제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현재 전국에 12만5000곳 정도다.
반면 삼성페이는 마그네틱보안전송기술(MST)을 갖췄다. MST 결제 방식은 가맹점들이 별도의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카드 결제기를 보유한 매장이라면 삼성페이를 쓸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제휴로 페이코 이용자들은 기존 페이코 가맹점에서만 가능했던 오프라인 결제를 삼성페이 결제를 지원하는 전국 대부분 오프라인 상점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페이코는 국내 4개 주요 간편결제 주자 중 하나다.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는 가입자·거래액 기준으로 2강(삼성페이·네이버페이)과 2중(카카오페이·페이코)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1강과 1중이 손을 잡은 첫 사례다.
타 서비스에 비해 온라인 기반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는 삼성페이는 이번 제휴로 페이코의 온라인 결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당장 NHN페이코의 계열사인 전자지급결제 대행업체(PG) NHN KCP의 결제창과 연동해 10만여개의 온라인 결제처를 확보하게 됐다. 또 페이코 포인트가 삼성페이의 신규 결제수단으로 추가되고, 한게임·코미코 등 NHN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서비스에도 삼성페이 결제가 가능해진다.
삼성페이와 페이코의 주요 경쟁자인 네이버의 네이버페이는 아직 오프라인 결제 기능이 없다. 카카오의 카카오페이는 내년 상반기쯤 제휴 관계인 중국 알리페이와 서비스를 연동하면서 알리페이의 국내 오프라인 가맹점을 대거 흡수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는 오프라인 결제를 할 수 있는 곳이 없다.
NHN페이코 정연훈 대표는 “이번 제휴는 페이코가 NFC와 바코드 결제에 이어 MST 결제 방식까지 지원하게 되면서 오프라인에서 결제 범용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초기 단계인 오프라인 간편결제 시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삼성페이와 긴밀히 협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온라인 결제 강자 페이코와 삼성페이 맞손
입력 2017-11-14 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