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학술용역 수의계약 많아… 발주도 늦어 효과 떨어진다 지적

입력 2017-11-14 20:15
전북도의 학술용역 대부분이 수의계약으로 이뤄지고 있는데다 발주도 늦어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허남주 전북도의원(자유한국당)은 올해 전북도가 발주한 24건의 학술용역 가운데 수의계약으로 이뤄진 용역이 전체의 75%인 18건에 이른다고 14일 밝혔다. 금액으로는 전체 22억 7400만원 중 17억200만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전체 38건의 학술용역 발주사업 중 25건(16억6500만원)이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 나머지 13건 중 5건은 제한경쟁이었다.

상당수의 사업 발주가 하반기에나 이뤄지는 늑장 발주도 문제다. 발주가 늦다보니 각종 사업을 실제 추진하는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해엔 3분기 8건, 4분기에 5건이 이뤄졌는데 올해에도 3분기에 8건의 발주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물류DB 구축방안 구상 용역’(4900만원)은 수의계약으로 용역이 이뤄졌는데 그나마 9월 5일에야 발주됐다.

허 의원은 전북도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수의계약은 마치 ‘짜고 치는 고스톱’이나 마찬가지로 업체와 유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특히 일부 용역은 하반기에 발주돼 납품이 늦어지고 시간에 쫓겨 부실한 결과를 만들고 해당 사업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