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사드 보복’ 피해 회복 요청… 리커창 “양국 관계 새로운 지평 열릴 것”

입력 2017-11-13 18:09 수정 2017-11-14 00:38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후 필리핀 마닐라의 한 호텔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리 총리 모두 환하게 웃는 얼굴이다. 뉴시스

한국 기업 생산품에 대한
불이익 철회 등 구체적 거론

리커창 “실질협력 전망 밝다”
일부 사안에 긍정적 입장 표명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회담하고 ‘사드(THAAD) 보복’ 피해 회복을 요청했다. 중국 내 한국 기업 생산품에 대한 불이익 철회 등 구체적인 사안도 거론했다. 리 총리는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해 피해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문 대통령과 리 총리는 마닐라의 한 호텔에서 50여분간 회동하고 양국 관계 발전의 중요성, 교류협력의 조속한 회복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윤 수석은 또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로 침체됐던 한·중 관계로 인해 한국의 많은 기업이 어려움을 겪어온 점을 환기시켰다”며 “양국 간 경제 문화 관광 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리 총리의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 기업의 애로 해소, 투자활성화를 위한 경제 분야 고위급 협의체 재개, 중국내 우리 기업이 생산한 전기자동차 배터리 보조금 제외 철회, 한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수입규제 철회 등을 구체적으로 요청했다. 이와 함께 양국에 개설된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발전과 금융협력 분야의 속도감 있는 협력 추진, 미세먼지에 대한 공동 대응 등도 제안했다.

이에 대해 리 총리는 “중·한 관계의 발전에 따라 일부 구체적이고 예민한 문제들을 피하긴 어렵지만, 실질협력 전망은 아주 밝다”며 “양국은 상호보완성이 강한 만큼 중·한 관계의 미래는 자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한 관계는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추운 겨울이 지나고 훨씬 따뜻한 봄을 맞을 수 있게 됐다.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고 윤 수석이 전했다.

리 총리는 다만 회동에서 문 대통령의 일부 요청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협력과 전기차 배터리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 이 자리에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인민은행장 등 관련 기관장이 와 계시니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사소통을 해가자”고 답했다. 다만 배터리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 소비자의 관심과 안전 문제에 유의해야 한다”고, 반덤핑 수입규제 철회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답했다.

마닐라=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