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반격 왜?... 주말 측근들과 대책회의, 보수층 결집 기대

입력 2017-11-13 05:03
이명박 전 대통령이 12일 바레인으로 출국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 귀빈실 입구로 들어서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이 내린 차 뒤로 이 전 대통령 수사를 촉구하는 시위대가 피켓을 들고 있다. 인천공항=윤성호 기자

침묵 깬 MB, 문재인정부 적폐청산 작심 비판… 왜?

“김관진 윗선이 MB밖에 더 있나”
측근과 대책회의… 보수결집 기대

바레인 출국 前 현 정부 비판
이동관 “세상에 어떤 정부가
댓글 달라고 지시하냐” 반문도

與 “귀국 후 검찰 조사 응해야”
MB 출국금지 청원 8만건 육박


침묵을 지키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작심하고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 전 대통령 측근 인사는 12일 “이 전 대통령과 그를 모셨던 참모들이 11일 모여 회의를 했다”면서 “이 전 대통령이 회의 내용보다 더욱 강한 메시지를 내놓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출국 발언은 문재인정부가 선을 넘을 경우 당하고 있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통령의 현 정부 비판은 전직 대통령이 현실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발언을 자제하겠다는 기존 스탠스를 뒤엎은 것이다. 그는 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에 대해 “과연 개혁이냐, 감정풀이냐, 정치적 보복이냐 이런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고 반격했다. 단정적인 표현은 삼갔으나 ‘정치적 보복’이라는 속에 있는 말을 꺼낸 것이다.

이 전 대통령은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자신을 압박하는 데 대해 위기감을 느끼고 반격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군 사이버사령부와 국가정보원의 각종 정치개입 의혹에 김대중 전 대통령 노벨상 서훈 취소 공작 논란, 다스 실소유주 논란 등이 끊이지 않는 상태다.

하지만 군 사이버사령부의 여론조작 의혹 사건으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된 것이 이 전 대통령의 강공 모드 전환에 결정타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전 대통령의 측근 인사는 “김 전 장관의 윗선이라면 이 전 대통령밖에 더 있겠느냐”면서 “결국 이 수사는 이 전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이번 메시지를 통해 보수층의 여론 결집도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 전 대통령 측은 현 정부가 전직 대통령이 감옥에 있는 상황에서 전전(前前) 대통령에게 칼날을 들이댈 경우 보수 민심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도 인천국제공항에서 군 사이버사의 여론조작 의혹과 관련해 “세상에 어떤 정부가 그런 댓글을 달라고 지시하느냐”고 반문한 뒤 “대한민국 대통령이 그렇게 한가한 자리가 아니다. 시시콜콜 보고받고 지시한 적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군과 국정원 댓글 작업 의혹에 대해선 “문제가 된 댓글은 전체의 0.9%”라며 “잘못된 게 있다면 메스로 환부만 도려내면 되지 손발을 자르겠다고 도끼를 들면 국가 전체에 위태로움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집권 기간 불법을 기획·지시하고 탈법을 사주한 전직 대통령이 정치보복 운운하고 불법을 합리화하는 것은 구차하다”며 “이 전 대통령은 귀국 후 검찰에 출두해 사실관계에 따른 정치적·법적 책임을 지라”고 촉구했다.

이날 인천국제공항에는 일부 시위대가 ‘MB구속 적폐청산’ ‘다스는 누구 거냐’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귀빈실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이 전 대통령 출국을 금지해 달라는 내용의 청원 글과 동의하는 글이 모두 7만8000건에 달했다.

글=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