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개혁 이름으로 감정풀이
새 정부들어 갈등·분열 깊어져
침묵 깨고 작심 비판… 정면대응
靑 “불공정 구조 바꾸자는 것”
이명박(얼굴) 전 대통령이 12일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에 대해 “지난 6개월 동안 적폐청산 명목으로 (진행된 일들을) 보면서 이것이 과연 개혁이냐, 감정풀이냐, 정치적 보복이냐 이런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또 “군의 조직이나 정보기관 조직이 무차별적이고 불공정하게 다뤄지는 것은 우리 안보를 더욱 위태롭게 만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은 바레인 출국에 앞서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저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오면서 일말의 기대를 하고 있었던 사람 중 하나”라며 “(그러나) 새로운 정부가 들어와 오히려 사회 모든 분야가 갈등과 분열이 깊어졌다고 생각해 많은 걱정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전 대통령이 군 사이버사령부의 여론조작 의혹 등을 포함해 자신을 겨냥한 여권의 움직임에 직접 나서서 입장을 표명한 것은 처음이다.
이 전 대통령은 특히 현 정부의 적폐청산 활동을 작심하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것(적폐 청산)은 국론을 분열시킬 뿐만 아니라 중차대한 시기에 안보 외교에도 도움이 되지 않고, 세계 경제 호황 속에서 한국 경제가 기회를 잡아야 할 시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한 국가를 건설하고 번영케 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파괴하고 쇠퇴시키는 것은 쉽다”며 “부정적인 것을 고치기 위해 긍정적 측면을 파괴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통령은 군 사이버사령부의 활동과 관련한 질문을 던지는 기자들을 향해 “상식에 벗어난 질문은 하지 말라. 그것은 상식에 안 맞다”고 주장했다. 한 측근 인사는 “현 정부가 정치보복성 적폐청산 활동을 멈추지 않을 경우 이 전 대통령은 앞으로도 직접 나서서 정면대응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은 바레인 정부 초청으로 이날부터 15일까지 바레인을 방문, 현지 각료 등을 대상으로 강연할 예정이다.
청와대는 이 전 대통령의 입장 표명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적폐청산에 대해 ‘개인에 대한 책임 처벌이 아니다. 불공정 특권 구조 자체를 바꾸자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고만 밝혔다.
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
“적폐청산, 정치보복 의심”… MB의 반격
입력 2017-11-12 18:34 수정 2017-11-12 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