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질환자가 13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절반가량은 9세 이하 소아·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시질환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1년 11만9398명에서 2016년 13만1892명으로 늘어났다고 12일 밝혔다. 연평균 2.0%씩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사시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도 182억9900만원에서 281억2500만원으로 올랐다. 연령별로 보면 9세 이하가 6만7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환자의 50.9%다. 10대(3만6000명), 20대(7000명)가 뒤를 이었다.
김혜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교수는 “사시는 소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시력 발달이 8세 전후 완성되기 때문에 대부분 사시 진단·치료는 소아기에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사시 수술은 10세 미만인 경우 모두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10세 이후 환자는 제한적으로 지원을 받는다. 전신질환 안와질환 수술외상 등으로 사시가 발생한 경우, 10세 이전에 발병한 사시로 고개를 반듯하게 들지 못하는 이상두위 현상이 있는 경우에만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다. 미용 목적의 수술은 온전히 환자 부담이다.
사시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두 눈을 바로잡기 위한 융합력에 이상이 생기거나 눈 근육, 안와 내 조직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발생한다. 이는 약시를 유발할 수 있다.
글=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
사시질환자 작년 13만명… 9세 이하 51%
입력 2017-11-12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