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강원도가 경기장 관리를 위해 연간 100억원이 넘는 혈세를 투입해야 할 전망이다.
강원도가 최근 강원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경기장 가운데 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시설의 운영수지 분석 결과 연간 101억3100만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경기장 가운데 적자가 가장 큰 시설은 정선 알파인경기장으로 36억8200만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운영비용은 106억8200만원인데 비해 운영수익은 70억원에 불과했다. 이어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22억5400만원, 강릉하키센터 21억4300만원, 스키점프·바이애슬론·크로스컨트리 경기장 11억4300만원,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9억900만원 순이었다.
도는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확정된 관리주체로 시설 소유권 이전, 민간투자 유치 등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문체육시설로 일반인 활용이 어려운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4개 시설은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통해 국가관리를 추진키로 했다. 또한 관동하키센터와 슬라이딩센터 등 관리주체가 확정된 시설은 소유권 이전을 위해 ‘동계올림픽특별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정치권과 협조해 전문체육시설에 대해서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통해 국가관리를 추진하고, 나머지 시설은 민간투자유치 등 다각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겠다”며 “국제대회 및 해외 전지훈련 유치 등을 통해 강원도가 아시아 겨울스포츠의 중심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강원, 평창 대회 후 경기장 운영 연 101억 적자”
입력 2017-11-12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