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기존 사물인터넷(IoT) 전용 LTE망 기술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 등을 높인 ‘LTE Cat.M1’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IoT 네트워크를 이용해 음성·사진 등 중·대용량 데이터를 주고받기가 수월해질 전망이다.
LTE Cat.M1은 기존 IoT망 기술 LTE-M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과 배터리 수명을 늘린 기술이다. 이 기술은 지난해 3월 국제 표준화단체 3GPP에서 표준으로 인정됐다. SK텔레콤은 지난 8월부터 LTE 기지국에서 기술 적용 및 필드 테스트를 진행하며 기술을 고도화해왔다.
LTE Cat.M1은 기존 LTE-M보다 통신 모듈 가격도 저렴하다. LTE망을 이용하는 IoT 제품 제작자로서는 통신 모듈 구입에 필요한 비용을 낮출 수 있다. IoT 제품 가격이 떨어지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도 늘어나 IoT 생태계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LTE Cat.M1과 저용량 데이터 전송망 ‘로라’ 네트워크와의 연동에도 성공했다. 이로써 SK텔레콤은 한 서버에서 음성데이터 등 대용량 데이터는 LTE Cat.M1으로, 기기 위치 수치 정보 등 저용량 데이터는 로라 네트워크로 전송해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SK텔레콤, IoT 네트워크에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
입력 2017-11-12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