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靑에선 국정원 특활비 사용 안할 것”

입력 2017-11-11 05:02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오른쪽)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임종석 실장, 운영위서 답변
전병헌 관련 “예단할 일 아냐”

田 수석, 예결위 출석했지만
뇌물의혹 직접 물은 의원 없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10일 “문재인정부 청와대에서는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를 사용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임 비서실장은 이동섭 국민의당 의원의 특수활동비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임 실장은 ‘문재인정부 청와대 역시 국정원의 특수활동비를 상납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에 “처음 시작할 때부터 이 부분은 대통령께서 분명하게 했다”며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이) 없다”고 답했다. 이 의원이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느냐”고 재차 묻자, 임 실장은 “답변드리는 저 역시 공인이다. 책임감을 실어서 답변드린다”고 했다.

임 실장은 “국익을 저해할 만한 일체의 이면합의는 없었다”며 한·미 정상회담 이면합의 의혹도 부인했다.

임 실장은 뇌물수수 혐의로 과거 보좌진이 구속된 전병헌 정무수석에 대해서는 “언론에 간단히 입장을 표명한 대로 본인과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들었다”고 밝혔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금 출범한 정권에 부담을 더는 차원에서 대승적 결단을 해야 하지 않느냐”고 추궁했지만, 임 실장은 “아직 예단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전 수석은 이날 국회 운영위에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고 예결위에 출석했다. 전 수석에게 뇌물수수 의혹을 직접 질의하는 의원은 없었다.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장은 이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소문만 듣고 사실 확인 없이 성급하게 (전 수석의 이름을) 말해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여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국정감사에서 게임농단 세력으로 ‘모 정치인의 친척을 빙자한 사람’을 지목했고, 실명을 밝히라는 위원들의 요구에 전 수석의 이름을 말했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자체 감사를 진행하라는 이은재 한국당 의원의 요구에 “알겠다”고 답했다.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적폐청산’을 둘러싼 여야 의원들의 공방이 이어졌다. 이장우 한국당 의원이 “오죽했으면 현직 검사가 자살하겠느냐. 이 정부가 죽인 것”이라고 비판하자 민주당 의원들이 “표현이 과하다”며 반발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