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핑 적발 잇달아… IOC, 국기 불허 이어 참가 불허도 논의 예정
소치 대회 크로스컨트리 선수 6명
향후 올림픽 영구 출전 금지 당해
러 “선수들 징계 부당” 강력 반발
올림픽위원장 “러시아가 만약에
국기 못달면 평창에 가지 않을 것”
평창 대회, 러 불참땐 흥행에 악재
러시아 선수들이 2014년 자국에서 열린 소치동계올림픽에서 금지약물을 복용한 사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조직적인 도핑 조작에 대한 의혹이 갈수록 커지면서 동계스포츠 강국 러시아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럴 경우 평창올림픽 흥행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0일(한국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소치 대회에 출전했던 러시아 크로스컨트리 대표팀 선수 4명을 실격조치하고 향후 올림픽 출전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도핑 양성 반응으로 징계를 받는 선수는 막심 빌레그자닌, 알렉세이 페트코프, 율리아 이바노바, 에브게니아 샤포발로바다. 이중 빌레그자닌은 크로스컨트리 남자 50㎞에서 따낸 은메달도 박탈당했다. IOC는 앞서 지난 주 소치 대회에 출전했던 러시아 크로스컨트리 선수 2명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를 내렸다. 남자 50㎞ 금메달리스트 알렉산더 레그코프가 포함돼 금메달이 취소됐다. 다만 소치 대회에서 ‘피겨여왕’ 김연아를 제치고 금메달을 딴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는 도핑 혐의를 벗었다.
국제 스포츠 전문미디어 인사이드 더 게임스는 이날 “IOC가 소트니코바에 대한 도핑 의혹을 기각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에 대한 여론은 좋지 않다. 러시아의 국가 주도 도핑 의혹이 눈덩이처럼 불거진 데다 이달에만 스키 선수 6명이 실제로 징계를 받으면서 러시아의 평창올림픽 출전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9월에는 17개국 반도핑기구들이 IOC에 러시아의 평창행을 금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IOC는 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집행위원회에서 러시아의 평창올림픽 참가 여부에 대한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여기서 러시아의 평창올림픽 출전 불허 방침이 나올 수 있다.
러시아가 평창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한다면 흥행에 적신호가 켜지게 된다. 러시아는 동계스포츠 강국이다. 소치 대회까지 총 22회 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는 구 소련 시절을 포함해 10번이나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러시아는 발끈하고 나섰다. 우선 도핑에 적발된 선수들의 징계가 부당하다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할 계획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까지 비난에 가세했다.
푸틴 대통령은 미국이 평창올림픽에 러시아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도록 자격박탈을 압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이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올림픽이 2월에 시작되고 우리 대통령 선거는 3월에 열린다”며 “러시아의 스포츠 팬과 선수들 사이에 불만의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는 매우 강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대회 보이콧 움직임도 있다. 알렉산드르 주코프 러시아올림픽위원장은 “만약 러시아 국기를 달 수 없다면 평창올림픽에 출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
‘북극곰’ 러시아, 정말로 평창 못 오나?
입력 2017-11-10 18:28 수정 2017-11-10 2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