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민간 서비스업 연구·개발(R&D) 투자가 적정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경제 규모와 부가가치 비중을 감안한 국내 민간 서비스업 R&D 비중은 적정 수준 대비 25.1% 포인트 부족하다고 9일 밝혔다.
한경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한국의 적정 민간 서비스업 R&D 비중은 33.2%였다. 하지만 2015년 기준 전체 민간 R&D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불과했다.
선진국과 비교시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 부진은 더욱 뚜렷해진다. 미국(30.1%) 영국(58.9%) 독일(12.4%·이상 2014년 기준) 서비스업 R&D 비중은 모두 한국을 웃돌았다. 또 선진국 서비스업 R&D 투자 비중이 증가 추세인 데 비해 한국은 오히려 비중이 줄고 있다. 일례로 한국과 비슷한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일본은 2010년 대비 2015년 서비스업 R&D 비중이 5.4% 포인트 증가했지만 한국은 같은 기간 2.0% 포인트 줄었다.
이태규 한경연 연구위원은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고 타 산업과의 연계성이 강한 서비스업 분야를 우선 정책 대상으로 삼고 활성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민간 서비스 R&D 투자 기준 이하
입력 2017-11-09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