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단호하면서도 절제된 대북 메시지를 내놨다. 두 정상은 북한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되, 대화를 통해 북핵 문제를 해결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희화화하거나 대북 선제 타격을 주장하는 등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깜짝 발언’도 없었다. 실제 정상회담 도중에도 군사적 옵션은 전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7일 청와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두 정상은)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체제를 정착시키기로 했다”면서 “갈수록 높아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압도적인 힘을 바탕으로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하고 진지한 대화에 나설 때까지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한다는 기존 전략을 재확인했다.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하면 밝은 미래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는 것도 재확인했다”면서 “우리는 이 공동의 접근 방법을 바탕으로 북핵 문제의 평화적이고 근원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보다는 자극적인 화법을 구사했지만 평소보다는 훨씬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는 한국인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끔찍한 위협”이라면서 “우리는 함께 북한의 위협에 맞설 것이다. 북한 독재자가 수백만의 무고한 인명을 위협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과 러시아 등 책임 있는 모든 국가가 북한에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중단토록 요구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모든 국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해야 하며 북한과의 교역과 사업을 모두 중단해야 한다. 점점 더 위험해지는 북한 체제가 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군사적 옵션과 북·미 직접 대화 등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동맹국을 지키기 위해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모든 방위 능력을 사용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필요할 때 그렇게 하겠다는 얘기”라고 첨언했다. 그는 미 해군 핵추진 항공모함 3척이 한반도 주변 해역에 전개된 사실을 언급하며 “우리는 이런 식으로 힘을 과시한 적이 없다”면서도 “(이 무기를) 사용할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토를 달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법으로 군사적 옵션보다 협상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뜻도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나와 우리와 합의를 이끌어낸다면 북한 주민은 물론 전 세계 시민들에게 좋을 것”이라면서 “이 부분에 움직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되는지는 두고 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 직접 대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도 “언급하지 않겠다. 이해해 달라”고만 답했다.
글=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트럼프, 對北 군사 옵션 언급 없었다
입력 2017-11-07 2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