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조직적 도핑 파문을 일으켜 논란의 중심에 선 러시아를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각종 제재를 통해 징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7일(한국시간) “IOC가 평창올림픽 개회식 때 러시아 국가 연주를 금지하고 선수 입장을 배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선수들은 러시아 국기가 새겨진 유니폼을 입지 못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IOC는 다음달 5일 스위스 로잔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도핑 스캔들에 휩싸인 러시아에 대한 징계와 더불어 평창올림픽 참가 허용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러시아의 조직적 도핑 스캔들은 지난해 7월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불거졌다. 세계반도핑기구(WADA) 독립위원회를 이끈 캐나다 법학 교수 리처드 맥라렌은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 정부의 지시로 조직적인 소변 샘플 바꿔치기가 이뤄졌다. 하계·동계 올림픽을 가릴 것 없이 거의 전 종목에서 선수 1000명의 도핑 테스트 조작이 일어났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도핑 조작 사례가 실제로 확인되면서 리우올림픽의 육상과 역도 종목에 러시아 선수들의 참가 금지령이 내려졌다.
지난 9월에는 미국과 영국 등 17개국 반도핑기구가 공동 성명을 내고 “IOC가 스포츠 역사상 최대 스캔들 가운데 하나에 대해 러시아에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은 건전한 선수들과 올림픽의 미래를 위태롭게 한다”며 평창올림픽에 러시아의 참가를 배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최근 IOC가 강력 제재를 내린다면 평창올림픽에 불참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알렉산더 주코프 러시아올림픽위원장은 러시아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 국기를 뗀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며 IOC가 검토 중인 징계를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WADA는 오는 16일 서울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러시아의 조직적 도핑 파문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WADA의 결정에 따라 IOC의 러시아 징계 수위도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평창서 러시아 국가 연주 못할 수도
입력 2017-11-07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