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방해’ 관련 두 번째 사망자
병원 이송했으나 치료 중 숨져
문무일 검찰총장, 빈소 조문
MB 국정원 ‘현안TF’ 구성원
검찰의 압수수색 대비
가짜 심리전단 사무실 만들고
사건 은폐 깊숙이 개입한 혐의
이명박(MB)정부 시절 검찰의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재판을 방해한 혐의를 받고 있던 변창훈(사진·48·사법연수원 23기) 서울고검 검사(차장급)가 6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앞두고 투신했다. 변 검사는 곧장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치료받던 중 숨졌다. 수사방해 수사 관련 두 번째 사망자다.
서울 서초경찰서 등에 따르면 변 검사는 이날 오후 2시30분쯤 서초구 법무법인 아인 사무실 건물 4층에서 바닥으로 떨어졌다. 오후 3시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상담차 아내와 함께 변호사 사무실을 찾았다가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변 검사는 법률대리인인 허태훈 변호사를 만나 얘기를 나누던 중 ‘화장실에 다녀오겠다’고 한 뒤 투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 변호사는 “오늘은 드릴 말씀이 없다”며 당시 상황 설명을 거부했다. 현장에서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변 검사는 투신 직후 119구조대에 의해 인근 서울성모병원으로 옮겨져 심폐소생술을 받는 등 응급치료를 받았지만 2시간여 만인 오후 4시쯤 끝내 숨졌다. 사인은 심정지였다.
변 검사는 2013년 국정원이 검찰 수사와 재판에 대응하기 위해 꾸린 ‘현안 TF’의 구성원이었다. 그는 당시 국정원 법률보좌관으로 파견돼 감찰실장이던 장호중(50)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과 파견검사 이제영(43) 대전고검 검사 등과 함께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비해 허위 서류 등을 비치한 가짜 심리전단 사무실을 만든 혐의를 받았다. 심리전단 요원들이 검찰 수사와 법원 재판 과정에서 실체와 다른 진술을 하도록 지침을 제시하는 등 사건을 은폐한 혐의도 있다.
법조계에선 변 검사가 구속 여부가 결정될 영장심사를 앞두고 극도로 심리가 불안한 상태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내 대표적 엘리트 검사에서 불명예 사건 혐의자로 추락한 자신의 처지를 비관했을 수도 있다.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변 검사는 울산지검과 수원지검 공안부장,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 대검찰청 공안기획관 등 공안 분야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다. 국정원 수사팀에도 근무 연이 있는 후배가 여럿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 수사를 지휘하고 있는 윤석열(57) 서울중앙지검장과는 사법연수원 동기다.
수사 대상자의 잇따른 사망에 수사팀도 침통한 분위기다. 말을 아꼈지만 향후 국정원 관련 수사에서도 지연과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앞서 수사방해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던 국정원 소속 정모 변호사도 지난달 30일 강원도 춘천의 한 주차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변 검사는 정 변호사가 숨지기 전 그와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 관계자는 “고인 및 유족에 대해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안타까운 심경을 나타냈다. 문무일 검찰총장도 이날 빈소를 방문해 비통함을 감추지 못했다.
결국 이날 영장실질심사는 이 검사와 서천호(56) 전 국정원 2차장, 고일현 전 국정원 종합분석국장 3명을 상대로 열렸다. 검사 중 유일하게 영장실질심사에 참석한 이 검사는 심정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심문에서 성실히 말하겠다”고 답한 뒤 법정으로 들어갔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댓글수사 방해 의혹’ 변창훈 검사, 영장심사 앞두고 투신
입력 2017-11-06 18:44 수정 2017-11-06 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