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과 충남 아산에 캠퍼스를 둔 서남대가 결국 폐교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한남대(대전기독학원)의 대학 인수가 불발되면서 정상화를 위한 실낱같았던 희망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서남대에 통보한 감사처분 미이행 시정요구 및 학교폐쇄 계고 3차 기한이 이날이었지만 대학 측은 제대로 된 시정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 이에 교육부는 조만간 현지조사를 한 뒤 이달 중 행정예고를 통보할 예정이다. 이후 청문절차를 거쳐 연내 대학 폐쇄와 법인 해산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학교 폐쇄가 확정되면 2018학년도 수시모집 정지 조치가 내려지고 재학생들은 인근 대학으로 편입하게 된다. 의예과 학생들의 경우는 의대 정원 문제와 관련돼 있어 차후 보건복지부와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당초 교육부는 지난 감사에서 지적된 바 있는 설립자의 횡령 교비 333억원 보전 등을 이날까지 이행하라고 대학 측에 요구했었다. 이에 대학 측은 그동안 재정기여자를 찾았으나, 회생의 마지막 기회로 여겨졌던 한남대의 정상화 계획이 무산되면서 폐교 절차를 피하기 어렵게 됐다.
앞서 지난 2일 열린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산하 연금재단 이사회는 한남대가 요청한 서남대 인수자금 지원방안을 부결시켰다. 대전기독학원이 서남대 인수를 추진하기로 의결하고 소속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연금재단에 500억원 규모의 대학 인수자금 지원을 요청했지만 무산된 것이다. 한남대 측은 “조만간 법인 이사회에서 이에 따른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보다 앞서 서울시립대와 삼육대가 정상화계획서를 제출했지만, 교육부는 두 기관의 자금 마련 계획이 미흡하다고 판단해 모두 반려했었다.
다만 교육부는 행정예고 기간에 정상화계획서가 들어올 경우 이를 검토할 뜻이 있음을 내비쳤다. 한 관계자는 “폐교 절차는 예정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정상화계획서가 들어오면 그때 타당성을 검토해 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남대는 설립자가 2012년 1000억원에 달하는 교비를 횡령한 혐의로 구속되면서 재정이 악화됐다. 이후 2012년 사안감사와 지난해 특별조사를 통해 ‘설립자가 횡령 및 불법 사용한 교비 330억원 미회수’와 ‘임금체불액(156억원) 및 학교운영비 등 173억원 미지급’ 등을 시정하라고 요구받았다.
남원=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서남대 폐교 수순 밟나… 한남대의 인수 불발
입력 2017-11-0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