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의원 등 바른정당 국회의원 9명이 6일 집단 탈당을 선언했다. 이들은 8일쯤 탈당계를 낸 뒤 9일 친정인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할 예정이라고 한다. 자강파와 통합파로 갈려 극심한 내홍을 겪어온 바른정당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끝내 두 쪽으로 갈라서게 된 것이다.
탈당 의원들은 ‘보수 대통합’ ‘문재인정부의 국정 폭주 저지’를 명분으로 내걸었지만 여론은 싸늘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치적 이익만을 좇는 적폐로의 회군” “철새”라고 비난했다. 국민의당은 “시대정신에 정면으로 역행하는 보따리 정치”라고 했고, 정의당도 “자신들의 정치적 안위만을 고려하는 적폐의 민낯”이라고 논평했다.
바른정당은 지난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후 새누리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이 만든 정당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인 지난 1월 24일 ‘새로운 보수’를 표방하며 창당했지만 10개월도 안 돼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잃게 됐다. 한때 의원이 33명에 달했으나 이제는 의원 11명의 미니정당으로 전락해 존립 자체가 위협받게 된 것이다.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은 명분도 원칙도 없다는 비난에 휩싸여 있다. 국정농단의 공동 책임자라 할 수 있는 한국당이 여전히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준표 대표와 친박계의 이전투구 속에 지난 3일 박 전 대통령을 제명했지만 친박 핵심인 서청원 최경환 의원의 출당 작업은 지지부진하다. 의원 107명의 거대 야당이지만 지지율은 10%대 중반을 맴돌 정도여서 덩치에 걸맞은 존재감을 상실한지도 오래다. 이런 한국당에 바른정당 의원들이 되돌아가겠다고 하니 개인의 정치적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회주의적 처신이 아니냐는 비난이 쏟아지는 것이다.
바른정당 의원들은 앞서 지난 5월 대통령 선거를 1주일 앞두고 13명이 한국당에 복당한 바 있다. 당시에도 명분은 부족했다. 자당의 대통령 후보가 지지율이 바닥을 헤매자 보수후보 단일화를 요구하고는 받아들여지지 않자 탈당해 한국당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촛불정국에서는 보수의 새로운 희망이 되겠다며 탈당해 놓고는 간판만 바꿔 단 옛집으로 슬그머니 되돌아가는 건 볼썽사납다. 바른정당이 개혁보수의 가치를 실현할 정치세력으로서의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지만 그게 탈당의 명분이 될 수는 없다.
한국당은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이 합류한다고 해서 보수의 민심이 돌아오는 건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한다. 뼈를 깎는 자성과 내부 혁신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사상누각이다.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를 보여주지 못하고 정치공학으로 몸집만 불려서는 결코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얻을 수 없다.
[사설] 명분 없는 바른정당 의원들의 한국당 복당 선언
입력 2017-11-06 17:20 수정 2017-11-06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