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전사령부 선봉 나설 듯
北, 미 지상군 투입 대응
화생방무기로 반격 가능성
개전 초 민간인 희생 30만명
미군 희생자도 수천명 예상
미국 국방부는 북한의 핵무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려면 지상군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경우 북한은 화생방무기로 미군에 반격할 가능성이 있으며, 개전 초기 수일 내 민간인 희생자가 3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민주당 테드 류 의원과 루벤 캘리고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는 형식으로 미 국방부가 이날 공개한 한반도 전쟁 시나리오에 따르면 미군은 북한 핵무기를 물리적으로 제거해야 하는 상황이면 특수요원들을 필두로 한 지상군을 투입하기로 했다. 핵무기 관련 시설이 대부분 지하 깊숙한 곳에 있기 때문에 공습 위주 폭격으로는 모두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핵무기 제거 작전은 미 특수전사령부(SOCOM)가 선봉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WP는 예상했다. 이와 관련,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해 애슈턴 카터 당시 국방장관을 통해 SOCOM에 핵무기 제거 임무를 맡겼다. 이후 SOCOM은 테러리스트 손에 핵무기가 넘어가는 상황을 염두에 둔 특수훈련을 강화했는데, 올 들어선 특히 북한 위기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미 합참 부국장인 마이클 두몬 해군 소장이 작성해 제출한 답변 서한은 “핵무기를 가진 북한에 대처하는 방안과 북한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은 1급 기밀에 속한다”며 더 구체적인 공개를 거부했다.
다만 미 국방부는 지상군을 투입하면 북한이 화생방무기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럴 경우 희생자가 많이 발생할 것이지만 규모를 단정적으로 예상하기는 쉽지 않다고 답변했다. 북한의 공격 본질과 강도, 기간, 대피소 피신 여부, 북한 장사정포와 로켓, 탄도미사일 공격에 대응하는 한·미 연합군의 역량 등에 따라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미 국방부는 그러나 서한에서 “경제적, 외교적 압력을 강화해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도록 만드는 국무부의 외교정책을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답변서를 검토한 류 의원 등은 “개전 초기 민간인 희생자가 30만명에 달하고 1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잠재적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좋은 군사적 옵션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갤리고 의원은 “북한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지상군 투입 계획에 깜짝 놀랐다”며 “미군 희생자가 수천명에 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류 의원 등 의원 14명은 성명을 내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적 노력을 저해하고 미군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도발적인 발언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swchun@kmib.co.kr
미 국방부 한반도 전쟁 시나리오 “북핵 완전 제거하려면 지상군 투입”
입력 2017-11-0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