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발굴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진행”

입력 2017-11-05 22:05
5일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 ‘5·18 민주화운동 암매장 추정지 발굴조사’ 현수막이 걸려 있다.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된 시민들이 암매장됐다는 증언이 이어지면서 5·18 기념재단은 6일부터 본격적인 발굴 작업에 들어간다. 뉴시스

37년 만에 행불자 찾기 주목
오늘 시작, 15일쯤 뒤 유해 존재여부 판명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된 시민 일부가 암매장된 장소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에 대한 발굴이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6일 본격화된다. 이곳에 대한 발굴 작업을 통해 처음으로 행방불명자의 흔적을 37년 만에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5·18기념재단(이하 5·18재단)에 따르면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암매장 흔적을 찾는 작업이 6일 시작된다. 앞서 5·18재단은 지난 3일 법무부로부터 발굴 착수 승인을 받고 현장에 중장비를 배치, 콘크리트 포장과 수풀 등 장애물을 제거하고 작업 구획을 나눴다.

발굴 실무와 현장 총괄은 매장문화 조사와 연구·보존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단체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맡는다. 연구원은 추정지에 작업자를 투입해 작은 삽 등을 사용해 약 10㎝ 깊이씩 땅을 파헤치면서 정밀조사를 한다. 의심스러운 물체가 나타나면 채로 흙 알갱이를 걸러내 유해 여부를 선별할 예정이다. 소형 굴착기도 현장에서 대기하며 중장비가 필요할 경우 일손을 거든다.

당초 현장 총괄을 맡기로 했던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은 최인선 순천대 문화유산연구소장 등 고고학 분야 전문가 그룹과 함께 발굴 전반을 자문한다.

발굴 현장에는 유적지 조사에서 쓰이는 트렌치(시굴 조사 구덩이) 설치도 이뤄질 예정이다. 트렌치 설치는 땅 밑에 유해가 존재하는지, 과거 몇 차례나 흙을 파내고 다시 메웠는지 등 정교한 지질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5·18재단 측은 날씨 상황이 좋다면 15일쯤 뒤에는 유해 존재 여부가 판명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장에서 5·18 행방불명자 유해가 나오면 광주지방검찰청이 수사에 나서게 된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3공수여단 지휘관이 ‘시신 12구를 2구씩 포개서 묻었다’고 진술한 만큼 6개의 구덩이를 찾는 게 이번 발굴의 최우선 목표”라며 “행방불명자들이 37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5·18재단은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지휘관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와 시민 제보 등을 바탕으로 옛 광주교도소 일원을 암매장 추정지로 지목했다. 재단은 이번 발굴 후 민간인 학살이 자행된 전남 화순 너릿재와 광주 2수원지 일원에서도 추가 발굴을 추진할 방침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