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사정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경찰은 지난주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의 연임 찬반을 묻는 노조의 설문조사에 사측이 개입했다는 노조의 고발과 관련해 KB금융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윤 회장은 차기 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돼 오는 20일 주주총회만 거치면 연임이 확정된다. 하지만 경찰 수사 결과에 따라 연임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채용비리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우리은행 이광구 행장은 임기 1년5개월을 남겨두고 지난 2일 돌연 사퇴했다. 채용비리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고 했지만 ‘서강대 금융인 모임(서금회)’ 멤버로 전(前) 정권 사람 솎아내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용환 농협금융지주 회장 등도 채용비리에 연루돼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채용비리나 비자금 조성, 직원 설문조사 조작 혐의 등 수사의 명분은 다양하다. 청년 구직자들을 좌절시키는 채용비리나 불법 비자금 조성 등 모두 있어서는 안 될 반사회적 범죄다. 당연히 비리가 있다면 사정기관이 나서서 철저히 수사하고 비위가 드러난 관련자들을 엄벌해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금융권 사정이 전 정권의 최고경영자(CEO)들을 몰아내고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유감스럽다.
금융사 CEO는 연봉과 성과급 등 수억∼수십억원을 받는다. 역대 정권마다 대통령과 친분 있는 실세들이 금융권 낙하산으로 내려오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능력과 전문성이 떨어지는 낙하산 인사의 폐해는 박근혜정부가 여실히 보여줬다. ‘실력 있는 낙하산’이라던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대우조선해양 부실을 방치하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직까지 뺏긴 사례가 대표적이다. 현 정부는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국회는 금융회사 임원 자격을 강화한 낙하산 방지 법안을 서둘러 처리해야 한다.
[사설] 금융권 수사, 자기편 자리 만들기用이어선 안 된다
입력 2017-11-05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