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3일 박근혜(사진) 전 대통령의 제명을 직권으로 결정했다. 박 전 대통령은 20년 동안 몸담았던 당에서 출당 조치를 당했다. 하지만 친박들은 “홍 대표의 독단적인 결정은 당헌·당규 위반이기 때문에 무효”라며 반발했다.
홍 대표는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과 나라의 미래를 위해서 박 전 대통령의 한국당 당적 문제를 정리하고자 한다”며 “한국당이 보수 우파의 본당으로 거듭나기 위해 ‘박근혜당’이라는 멍에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또 “박근혜 전 대통령 당적은 사라지지만, 앞으로 부당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2004년 대선자금 파동 때에는 침몰하는 당을 구하기도 했다”며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을 거론하면서도 “박근혜정부의 무능력과 무책임으로 보수 우파세력들이 허물어졌다”고 비판했다.
앞서 한국당은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제명’ 문제를 논의했으나 친박(친박근혜)계 김태흠 최고위원 등이 반대해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홍 대표는 “결정에 대한 책임은 내가 지겠다”며 제명을 직권으로 결정했다.
홍 대표는 발표 전에 페이스북에 ‘當斷不斷 反受其亂(당단부단 반수기란)’이라는 글을 올리며 ‘박근혜 제명’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현했다. 이 글은 ‘처단해야 할 것을 주저해 처단하지 않으면, 훗날 그로 말미암아 화를 입는다’는 뜻이다.
친박계는 반발했다. 한국당 윤리위로부터 ‘탈당 권유’ 징계를 받은 서청원 최경환 의원이 홍 대표 비판에 앞장섰다. 최 의원은 “홍 대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앞으로 법적·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친박들이 홍 대표에 대해 조직적인 저항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박근혜 제명’으로 보수 부분 통합의 명분이 마련됐다고 보고 오는 6일 또는 9일 바른정당을 탈당해 한국당에 복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주저하면 훗날 재앙”… 洪, 박근혜 직권 제명
입력 2017-11-03 22:02 수정 2017-11-03 2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