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방한 관광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중국과 동남아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와 복수사증 등 비자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정부는 3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관계부처와 업계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경제현안 간담회를 개최하고 ‘방한 관광 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내년 4월까지 한시적으로 강원도 양양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3개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 크루즈 관광의 경우 내년까지 법무부 지정 크루즈선을 탑승한 중국인 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관광상륙이 가능해진다. 중국 단체관광객의 경우 올해 말 만료되는 15달러(약 1만7000원) 상당의 전자비자 발급수수료 면제가 내년 말까지 연장된다.
또 우리나라를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1회 이상 방문한 경력이 있는 중국, 동남아 국민을 대상으로 복수사증(정해진 기간 내 자유롭게 입국 가능한 비자)이 발급된다. 다만 치안 여건 등을 감안해 동남아 근로자 유입이 많거나 비자 발급이 용이한 곳은 제외된다.
환승시간 동안 무비자 입국도 허가된다. 외국인 관광객(시리아, 수단 등 11개국 제외)이 인천공항 환승관광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수도권 내 72시간 동안 무비자 체류가 가능해진다.
문체부 관계자는 “최근 한·중 관계 개선 분위기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방한 관광 시장 조기 회복의 전환 국면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광 시장 균형 성장, 고부가가치 관광 확대, 평창 동계올림픽 및 개별관광 편의 제고 등의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호철 여행선임기자
hcnam@kmib.co.kr
“유커 데려오자”… 중국·동남아인 ‘관광비자’ 규제 대폭 완화
입력 2017-11-03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