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국내 금융기관 해킹 ‘금전 탈취’ 시도”

입력 2017-11-02 22:01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로 외화벌이 통로가 막힌 북한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우리나라 금융기관을 상대로 ‘금전탈취 해킹’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정보원은 2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 조직이 국내 금융기관을 상대로 해킹을 시도한 흔적이 여러 차례 포착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북한은 그동안 다수의 전문 IT 인력을 해외에 파견해 외화벌이를 해 왔다. 그러나 최근 북한 해외송출 인력의 외국 비자 연장이 불허되는 등 대북 제재가 강화돼 ‘돈줄’이 막히자 국제 해킹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 보고에 따르면 북한은 우리나라 은행, 증권사 등 전통적 금융기관은 물론 가상화폐거래소 등 각종 금융 관련 기관을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해킹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정황도 지속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국정원은 향후 북한이 자금 추적이 불가능한 가상화폐거래소 해킹에 집중하고, 사회 혼란을 조장하기 위해 금융 시스템 파괴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정원은 대북 제재가 철저히 이행되면 내년 이후 북한의 경제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돼 1990년 ‘고난의 행군’ 수준의 경제난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3.9%였던 북한의 경제성장률이 내년엔 마이너스 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고, 이는 김정은 정권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것이 국정원의 분석이다.

국정원은 경제적 압박이 심화될 경우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 호응해 대북 제재 완화를 도모하거나 더욱 강력한 통제로 내부 불만을 억누르며 핵무력 완성도를 높이는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또 북한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집권 이후 ‘핵·경제 병진 노선’을 천명했음에도 실제로는 핵과 미사일 개발에 체제 역량을 집중해 온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국제적인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경제부문은 ‘그럭저럭 버티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이슬람 무장 세력인 ‘이슬람국가(IS)’ 등 국제 테러단체가 2004년 이후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13차례 테러 협박을 한 사실도 공개했다.

또 201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테러단체 연계 혐의로 강제 퇴거된 인원이 9개국 71명이라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국정원은 내년 개최될 평창 동계올림픽의 테러·안전위협 요인으로 ‘IS 등 국제 테러단체’ ‘외로운 늑대형 자생 테러’ ‘북한에 의한 위협’ 등을 꼽았다.

국정원은 대회 기간에 ‘테러·안전사고 ZERO(제로)'를 목표로 총리실 대테러센터 등 15개 기관과 ‘대테러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안전 인력 5만명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정원도 우리나라 어선 ‘391흥진호’의 북한 나포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위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완영 의원은 “흥진호가 1주일 동안 납북됐던 사실을 국정원을 비롯해 정부의 전 정보기관이 모르고 있었다”며 “(서훈) 원장도 ‘정보기관으로서 부족한 것이 있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최승욱 김판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