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정보위 국감서 전망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
언제든 핵실험 가능한 상태
미사일 추가 발사 동향도 포착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올해 말 영변 원자로에서 폐연료봉 인출과 재처리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북한이 핵연료 재처리를 통한 핵무기용 물질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국정원은 2일 서울 내곡동 국정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앞으로 북한은 추가 핵실험과 핵탄두 소형화·다종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있는 핵실험장 관련 정보도 보고됐다. 국정원은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는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라며 “4번 갱도는 최근 굴착공사를 재개했고, 핵실험이 가능한 정도로 굴착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정원은 특히 “6차 핵실험이 진행된 2번 갱도는 핵실험이 끝나고 8분 후 여진이 있었으며 이후에도 후속 지진이 세 차례나 발생해 손상됐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2번 갱도는 그동안 핵실험으로 인한 붕괴와 방사능 유출 우려가 제기돼 왔던 곳이다.
북한의 추가 미사일 발사 동향도 포착됐다. 국정원은 “평양 소재 미사일 연구시설에서 차량이 활발히 움직이는 등 미사일 발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간부들에 대한 동향 감시를 강화하고, 한동안 자제했던 ‘본보기식 숙청·처형’을 재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사 간부 여러 명이 미사일 발사 축하 행사를 1면에 게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혁명화 조치됐으며, 평양 고사포부대 정치부장은 부패 혐의로 처형됐다. 혁명화 조치란 맡은 업무를 부실하게 처리한 간부 등을 보직해임 후 협동농장이나 탄광 등으로 보내 강제노동을 시키는 고강도 처벌이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北, 연말 영변 폐연료봉 인출·재처리 가능성
입력 2017-11-02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