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년까지 전기차 10만대로 늘린다

입력 2017-11-01 21:45
한국전력공사가 서울 중구 다동에 설치한 전기차 충전소.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2025년까지 전기차 10만대 보급을 목표로 전기차 충전기 1500기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전기차를 선택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충전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2019년까지 급속충전기 5∼10기가 집중된 집중충전소를 서울 5대 권역(도심, 서남, 동남, 동북, 서북)별로 2개소 이상씩 설치한다고 1일 밝혔다.

또 주유소와 자치구 청사, 대형주차장, 버스·택시 차고지 등에 급속충전기 설치를 늘려 2025년까지 시 전체에 1500기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내 전기차 충전기 숫자는 현재 207기보다 7배 이상 늘어난다. 또 시내 주유소 550여곳에 설치된 기름주유기 숫자의 절반쯤에 도달하게 된다.

서울시는 “전기차 구매자 설문조사에서 재구매 의사가 없다고 밝힌 응답자의 80% 이상이 ‘충전인프라 부족’을 이유로 꼽았다”면서 “충전기가 시내 곳곳에 생기면 전기차 보급에 속도가 붙고 전기차 이용 불편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9월 기준 서울시에 등록된 전기차는 3530대로 출고대기 중인 차량을 포함하면 올해 5500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2012년 267대에 비하면 5년 만에 20배 이상 늘었다. 서울시는 전기차 숫자를 2022년 5만대, 2025년까지 10만대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4800여대의 관용차를 전기차로 교체해 나간다. 현재 서울시 관용차의 전기차 비율은 13%인데 이를 84%까지 올린다. 또 내년 30대를 시작으로 시내버스도 전기차로 교체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선호도가 높지 않은 전기트럭과 전기택시 보급도 늘릴 방침이다.

서울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시행 중인 ‘전기차 의무 판매·생산제’ 도입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자동차 회사에 전기차 의무 생산량과 판매량을 부과하고 이를 채우지 못하면 벌금을 매기는 제도다.

JP모건이 지난 8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점유율이 2025년 35%, 2030년 48%에 도달한다. 우리 정부는 2022년까지 전기차 35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