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5만원권 현찰로 40억”
문고리 권력이 먼저 요구
이재만·안봉근 전격 체포
조윤선·현기환엔 月 500만원
박근혜정부 청와대 ‘문고리 3인방’의 일원인 이재만 전 총무비서관과 안봉근 전 국정홍보비서관이 국가정보원에 먼저 뇌물 상납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정원은 첩보활동 및 비밀 수사에 써야 할 특수활동비 가운데 매달 1억원씩 총 40억원대 현찰을 청와대 실세들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양석조)는 31일 국정원 측으로부터 거액의 뒷돈을 받은 혐의로 이·안 전 비서관을 전격 체포했다. 이들의 자택 등 10여곳에 대해 압수수색도 실시했다.
검찰은 이른바 ‘화이트리스트’ 수사 과정에서 국정원 자금 흐름을 추적하던 중 청와대로 돈이 흘러간 흔적을 발견했다. 최근 이헌수 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 등 국정원 관계자들로부터 이·안 전 비서관이 직접 요청해 특활비를 건넸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돈은 국정원장 개인 특활비에서 매달 5만원권 다발로 1억원가량을 인출해 ‘007가방’에 담아 건넨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실장을 비롯한 국정원 간부들이 직접 배달했으며, 상납 행태는 2013년 상반기부터 올 초까지 계속됐다고 한다. 검찰은 수감 중인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도 특활비를 나눠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조윤선·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 역시 활동비 명목으로 각각 1년 정도의 재직 기간 매달 500만원씩 국정원 돈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뇌물 상납을 지시한 혐의로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원장 등 박근혜정부 때의 국정원장 3명의 집도 압수수색했다.
과거 정권 국정원의 정치공작 수사는 국정원과 청와대가 결탁해 국가 예산을 전용한 국고 횡령, 뇌물 수사로까지 확대되는 상황이다. 이날 오전 검찰청사로 압송된 이·안 전 비서관은 ‘특활비 상납은 청와대 요구에 의한 것이었느냐’는 질문에 “수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만 답했다.
검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이 돈의 수금 및 관리에 관여했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전직 국정원장 3명도 뇌물공여, 특가법상 국고손실 등 혐의로 곧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황인호 신훈 기자 inhovator@kmib.co.kr
4년 동안 매달 1억… 국정원, 靑에 상납
입력 2017-11-0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