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네이버 기사 재배열 살피는 중” 이해진 “자사주 맞교환 미래 위한 투자”

입력 2017-10-31 19:17 수정 2017-10-31 22:04
이해진 전 네이버 이사회 의장(왼쪽)이 3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 일반 증인으로 참석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답변하는 모습을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다. 뉴시스

정무위 국감장서 마주쳐

野 “맞교환탓 주주 권익 침해
재벌 총수 꼼수 아니냐 ” 질타
이 전 의장, 억울함 호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이해진 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2개월 만에 해후했다. 두 사람은 31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네이버 갑(甲)질 논란’ 등에 의견을 제시했다. 이 전 의장은 과도한 네이버 비판에 억울함을 호소했다. 김 위원장도 “선도적 역할을 해 달라”며 대립각을 세우지 않았다.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이 네이버 기사 재배열 논란에 대한 직권조사를 촉구하자 김 위원장은 “시장지배적 사업자 직권조사와 관련된 문제는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전 의장은 “국내에서는 구글의 검색 점유율이 낮아 구글코리아가 상대적으로 깨끗해 보일 뿐”이라며 항변하면서 “우리는 공격을 많이 받고 있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을 막론하고 네이버와 미래에셋대우 자사주 맞교환이 일반 주주 권익을 침해했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이에 이 전 의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2000억원을 투자했고 현금만 갖고는 그런 투자를 못하기에 자사주를 팔았다”면서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이 전 의장의 이 같은 해명에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김 위원장을 향해 “자사주를 이용한 재벌총수 꼼수의 또 다른 버전인지 꼭 검토하라”고 당부했다. 네이버와 미래에셋은 지난 6월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네이버는 미래에셋의 자사주 7.1%를, 미래에셋은 네이버 자사주 1.7%를 서로 가져갔다.

공정위가 2014년 네이버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혐의와 관련해 결정한 동의의결이 ‘면죄부’로 작용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공정위는 당시 시장 구획을 모바일이 아닌 PC로만 획정해 스마트폰 등 모바일시장에서의 네이버 불공정행위를 제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전 의장은 지난 8월 김 위원장을 찾아가 대기업 총수 지정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었다. 이후 김 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 전 의장에게 스티브 잡스 얘기를 해주고 싶다”면서 “지금처럼 가다간 수많은 민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논란이 일자 김 위원장은 이 전 의장은 물론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에게까지 사과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