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11월 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한·중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중국 측과 여러 채널을 통해 논의를 계속해 왔다. 11월 정상회담에서 관계 개선의 물꼬를 확실하게 튼 다음 연내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방문, 내년 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참석으로 한·중 관계를 복원시키자는 구상이었다.
실제 이 같은 정부의 로드맵이 현실화될 조짐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3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양국의 소통을 강조하면서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발표가 조만간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동안 한·중은 갈등의 요인이었던 주한미군의 사드(THAAD) 배치 갈등을 매듭짓기 위해 여러 채널에서 접촉해 왔다.
이런 분위기와 맞물려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도훈(사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31일 중국 베이징에서 중국 측 수석대표인 쿵쉬안유 외교부 부장조리를 만난다. 양국의 수석대표가 만나는 건 지난 4월 이후 6개월여 만이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한·미·일 3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가 이미 지난 7월 상견례를 했고, 그 사이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연달아 감행한 점을 고려하면 다소 늦은 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는 시기적으로 여러 의미가 있다. 일단 지난 18∼20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 한·일, 한·미·일 수석대표 협의의 연장선에서 개최된다. 한·미·일 3국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주요국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면서 특히 중국과 러시아의 건설적 역할을 견인하기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본부장은 쿵 부장조리에게 북한을 비핵화 대화로 이끌어내기 위한 적극적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중 수석대표 협의는 11월 초 필리핀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성사됐다. 사드 배치로 갈등을 빚은 양국 관계가 경제, 민간 분야를 시작으로 조금씩 해빙 분위기를 타고 있는 상황과도 맞물려 있다.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거론되는 만큼 양국은 북핵 문제에 대한 의견도 심도 있게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6개월여만에 만나는 한·중 6자 수석대표… 북핵 협력 방안 심도있게 논의
입력 2017-10-30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