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나흘 만에 ‘조문 차림’ 국회 복귀

입력 2017-10-31 05:00
정우택 원내대표(앞줄 가운데)를 비롯한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검은 양복과 검은색 넥타이를 매고 문재인정부의 공영방송 장악 및 북핵 압박 유엔결의안 기권 규탄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한국당 의원들은 공영방송은 죽었다는 뜻에서 검은 양복과 넥타이를 착용했다고 설명했다.윤성호 기자

자유한국당이 30일 국정감사 보이콧을 철회하고 국감에 복귀했다. 지난 26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보궐이사 선임에 반발, 보이콧을 선언한 지 나흘 만이다. 한국당은 검은색 양복과 팻말 등을 사용해 다양한 방식의 원내 투쟁을 지속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서 ‘빈손 유턴’ ‘전략 부재’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한국당은 오전 의원총회를 열고 정우택 원내대표가 제안한 국감 복귀를 추인했다. 정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오늘부터 국감에 들어가서 강력한 원내투쟁을 통해 국감을 원만하게 마무리 짓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의원들에게 국감 복귀를 제안했다.

한국당이 나흘 만에 보이콧을 철회한 것은 여러 측면에서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미 국감이 막바지에 접어들었고 다음 달 예산 국회와 인사청문 정국이 시작되는 만큼 원내에서 투쟁하는 방안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또 11월 1일 문재인 대통령 시정연설과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설에 불참할 경우 여론의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당내에선 원내 지도부가 성급하게 보이콧을 결정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한 의원은 “나흘 만에 철회할 것 같았으면 애초 보이콧을 안 하는 게 나았다. 결과적으로 국민들에게 ‘한국당은 걸핏하면 보이콧하는 정당’ 이미지만 심어줬다”고 지적했다.

한국당은 원내에 복귀하면서도 문재인정부의 방송 장악에 항의하기 위한 투쟁을 이어갔다. 한국당 의원들은 ‘방송 장악으로 공영방송이 사실상 사망했다’는 의미의 검은색 정장과 넥타이를 착용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